가격협의 상품 및 유료상품의 구매를 원하실 경우 맞춤형 데이터 신청란에 글을 남겨주시면
신속히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데이터셋명 | IT분야중소기업별과제데이터 | 데이터 유형 | csv |
---|---|---|---|
데이터 분야 | 과학기술 | 구축 데이터량 | 48.00 MB |
구축기관 | 대덕넷 | 데이터 갱신 일자 | 2022-08-29 |
데이터 개방 일자 | 2022-10-27 | 데이터 이용 기한 | 무기한 |
데이터 갱신 주기 | - | 버전 | - |
주요 키워드 | IT, 과학기술, 정부과제, 중소기업, 데이터 | ||
벨류체인 키워드 | 기술획득 | ||
소개 | 과학기술 IT(Information Technology) 분야 중소기업별 정부 R&D 과제 데이터입니다. |
국내 IT 분야 중소기업별 과제 데이터 상품설명서
□ 상품설명
○ 국내 IT 분야 중소기업별 과제 데이터 상품은?
· 2021년~2022년 기준 국내 IT 분야 중소기업별 과제 데이터입니다. 중소기업에서 진행한 국내 IT 분야 과제의 세부 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IT 분야는 전기, 전자, 컴퓨터, 정보통신공학 전공자들이 해당됩니다. IT분야는 하드웨어 제작부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플랫폼 등등 모두 해당하는 분야입니다. IT산업은 4차 산업과도 직접적으로 연결됩니다.
○ 데이터 주요 키워드
· #IT #정보통신기술 #과학기술 #과제데이터 #중소기업
○ 데이터 활용 및 이용 권장 고객
· IT 분야 중소기업 과제 데이터를 활용(공유)하고자 하는 기업인
· IT 분야 과제 데이터를 활용해 융합연구를 위한 공공·민간 연구자
· 학술 연구를 위한 이공계 대학생·대학원생
□ 데이터 활용 방안
○ 국내 IT 분야 중소기업별 과제 데이터 상품 활용 방안은?
· 6T 기술분류(IT, BT, NT, ET, ST, CT) 가운데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부분이 IT 분야입니다. 국내 기업부터 글로벌 기업까지 대부분 IT 분야에 속한 거대 공룡 기업들입니다. IT 기술이 BT, NT, ET, ST, CT에도 녹아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IT 분야 중소기업 과제 데이터를 활용해 기술의 부가가치 제고 및 사회·경제적 파급 효과를 창출하는 데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 데이터셋의 구성
○ 데이터셋의 구성
· 국내 IT 분야 중소기업별 과제 데이터는 총 N개의 데이터로 구성돼 있습니다.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인 NTIS(National Science & Technology Information Service)의 데이터에 기반합니다. 우리나라에서 현재 연구하고 있는 과학기술을 비롯하여 각종 연구개발사업과 관련된 과제, 인력, 연구시설·장비, 성과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국가 연구개발(R&D) 지식포털입니다.
데이터 구분 | 데이터 요약 | 제공 방식 |
국내 IT 분야 중소기업별 과제 데이터 | - 국내 중소기업에서 수행한 IT 분야 과제 세부 내역 - 연구수행주체 및 수행기관 - 6T분류 및 과학기술표준 분류 코드 | - csv/zip |
□ 데이터셋의 구조
○ 데이터셋의 구조
No. | 칼럼명 | 데이터 타입 | 칼럼설명 |
1 | 일련번호 | VARCHAR(14) | 일련번호 |
2 | 기준년도 | VARCHAR(4) | 기준연도 (Ex. 2020) |
3 | 사업명 | VARCHAR(1000) | 사업명 |
4 | 부처명 | VARCHAR(500) | 부처명 |
5 | 과제관리기관명 | VARCHAR(300) | 과제관리기관명 |
6 | 과제고유번호 | VARCHAR(100) | 과제고유번호 (총 10자리 숫자) |
7 | 국문과제명 | VARCHAR(500) | 과제명(국문) |
8 | 영문과제명 | VARCHAR(500) | 과제명(영문) |
9 | 연구책임자명 | VARCHAR(20) | 연구책임자명 |
10 | 과제수행기관명 | VARCHAR(500) | 과제수행기관명 |
11 | 지역구분내용 | VARCHAR(20) | 지역구분 (ex.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
12 | 총연구기간시작일 | VARCHAR(8) | 총연구기간시작일 (Ex. 20220718) |
13 | 총연구기간종료일 | VARCHAR(8) | 총연구기간종료일 (Ex. 20220718) |
14 | 6T관련기술분류내용 | VARCHAR(500) | 6T관련기술분류 (Ex.4세대 이동통신) |
15 | 연구목표요약 | VARCHAR(1000) | 연구목표요약 |
16 | 기대효과요약 | VARCHAR(1000) | 기대효과요약 |
17 | 한글키워드 | VARCHAR(500) | 한글키워드 |
18 | 영문키워드 | VARCHAR(1000) | 영문키워드 |
19 | 연구비합계 | NUMERIC | 연구비합계 |
20 | 작업구분코드 | VARCHAR(1) | |
21 | 데이터생성일자 | VARCHAR(8) | |
22 | 연계처리상태코드 | VARCHAR(1) | |
23 | 연계처리일자 | VARCHAR(8) | |
일련번호 | 기준년도 | 사업명 | 부처명 | 과제관리기관명 | 과제고유번호 | 국문과제명 | 영문과제명 | 연구책임자명 | 과제수행기관명 | 지역구분내용 | 총연구기간시작일 | 총연구기간종료일 | 6T관련기술분류내용 | 연구목표요약 | 기대효과요약 | 한글키워드 | 영문키워드 | 연구비합계 |
520 | 2021 | 재난안전취약핵심역량도약기술개발(R&D) | 행정안전부 | 국립재난안전연구원 | 1315001602 | 스마트 기술을 활용한 승강기 위험 상황 자동 예측판단 기법 개발 | 박찬용 | 한국승강기안전공단 | 경상남도 거창군 | 20190410 | 20211231 | 신호처리기술(영상·음성처리·인식·합성) | 스마트 기술을 활용한 승강기 위험 상황 자동 예측판단 기법 개발 | o 영상 및 음성으로 위험상황 인지하는 다채널 영상음성 인식 솔루션 개발 o 진동, 소음 데이터 측정 및 분석 시스템 개발 o 영상, 음성, 진동, 소음 데이터 등 승강기에 특화된 빅데이터 및 데이터마이닝 시스템 개발 o 유사문제 해결 지식서비스 API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 o 이용자 자동구출운전을 위한 승강기 자가진단 기술 개발 o 위험상황 경보전파를 ... | 승강기, 위험상황, 영상, 진동, 예측판단 | elevator, hazard condition, vision, vibration, prediction | 800000000 | |
157 | 2022 | ESS·수소시설화재안전기술연구개발 | 소방청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761002563 | ESS 화재대응을 위한 자동소화시스템 개발 | The Development of Automatic Extinguishing System for ESS Fire | 홍성호 | 한국화재보험협회부설방재시험연구원 | 기타 기타 | 20200501 | 20241231 | 기타 정보통신 부품기술 | - ESS 열폭주 전조현상 조기 감지기 설계 및 개발- ESS 화재감지기 설계 및 개발- ESS 열폭주 방지 자동시스템 설계 및 개발- ESS 열폭주 방지 자동시스템 성능시험- ESS Rack 방호용 전용 소화장치 제작- 현상학적 ESS 열폭주 예측 모델 개발 | - 특수목적물에 대한 화재안전 기술 향상에 따른 국내 소방기술 발전 - 열폭주 방지기술, ESS 화재감지 및 진압기술 개발에 따른 국제적으로 경쟁력있는 기술 확보 - 국내 ESS 시장 정상화를 통한 기업들의 손실 감소에 기여 - 국외 ESS 수출 증대를 위한 안전기술 확보로 국외 ESS 시장 진출 확대에 기여 - 사회적 불안감을 감소시키고 친환경에너지 보급... | 에너지저장장치,열폭주,자동소화장치,화재감지기,리튬이온 배터리 | ESS,Thermal runway,Automatic extinguishing system,Fire detector,Lithium ion battery | 2000000000 |
429 | 2021 | 어업현장의현안해결지원사업(R&D) | 해양수산부 |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 1525010876 | 생물, 장비 예지보전 소프트웨어 개발 | 권기원 | 한국전자기술연구원 | 경기도 성남시 | 20200429 | 20221231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어류양식장의 고질적인 현안문제 해결 및 도입이 확대되고 있는 자동화 장비의 실질적 활용기반을 마련함으로써 양식 생산성과 안전성을 향상할 수 있는 어류양식장 자동화 및 예지보전 시스템과 운영인력의 교육을 지원하는 교구/교재를 개발한다. 이 때, 리빙랩을 통해 개발기술에 대한 검증 및 현장실증을 실시하여 현장적용성을 높이는 동시에 개발 기술의 보급을 촉진하고 ... | - 양식업의 전반적인 역량강화를 위한 정책 수립 및 현장보급사업 연계 추진 - 연구개발을 통해 확보될 자동화 및 예지보전 시스템은 수요자의 요구에 따라 양식장 적용 및 상용화 가능 - 스마트양식 관련 시장의 확대에 따라 어업인 교육과 관련 수산계 교육기관(고등학교, 대학교, 지자체)에서 개발 교구와 교재를 교육 과정에 활용 가능 - 국내 양식 산... | 어류양식,자동화,예지보전,교구 교재,리빙랩 | Fish culture,Automation,Predictive maintenance,Training materials,Living labs | 100000000 | |
232 | 2021 | 글로벌탑환경기술개발사업(R&D) | 환경부 | 한국환경산업기술원 | 1485017622 | 정보통신(ICT)/사물인터넷(IoT) 기반 스마트 상수관망 운영관리시스템 개발 | Development of Smart Water Network Management System based on ICT/IoT | 이두진 | 한국수자원공사 | 대전광역시 대덕구 | 20160810 | 20210430 | 기타 정보기술 | 1. 스마트미터링 기반의 절수 및 운영 에너지 저감 상용화 모델 개발에 따른 운영에너지 20% 절감(누수저감, 운영에너지절감, 절수 등)2. 스마트미터링 시스템 국내 Test-bed 1,000전 이상(또는 국외 500전 이상) 적용 및 기술검증 | -스마트워터미터 기반 수도정보 제공 및 서비스 개발을 통하여 물사용량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고도화된 수량관리와 물수요관리 비즈니스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새로운 사업을 발굴하고 신규 고용을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IoT 기반 지능형 수량/수질계측시스템의 적용을 통하여 누수탐사, 기기점검 등에 소요되던 인력과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 | 스마트워터미터, 사물인터넷, 상수관망, 통합운영시스템, 절수 | Smart water meter, IoT, Water distribution system,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Water Conservation | 67000000 |
431 | 2021 | 어업현장의현안해결지원사업(R&D) | 해양수산부 |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 1525011132 | 연안통발어업의 위험요인 조사분석 | 장덕종 |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여수산학협력본부 | 전라남도 여수시 | 20190715 | 20211231 | 기타 정보통신 부품기술 | 연안통발어업의 조업공정을 세분화하여 어로기술을 평가하고 노동재해 위해요소를 분석하여 조업선원의 수, 조업 및 작업의 편의성, 안전사고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조업자동화시스템 개발안전을 고려한 조업공정 자동화 장비 개발원격자동조타 연계 어업 안전장비 개발e-Navigation 사업에서 개발하는 ECS와의 중복 회피 기술 개발어업인 만족도 조사 및 리빙랩 운영... | ○ 기술적 측면 - 안전을 고려한 연안통발어업의 모릿줄 양승기술 확보- 안전한 투망이 가능하도록 양승 시 어구를 정리하는 기술 확보- 한국형 e-Navigation 사업에서 해양수산부가 개발 중인 ECS 표준성능을 기반으로 한 ECS와의 연계 안전시스템 기술 확보○ 경제적·산업적 측면- 연안통발어선의 사고에 의한 어업재해 비용 절감(연안자망어업의 사고비중은... | 소형어선,통발어업,어업재해,소형어선안전,조업자동화 | Small fishing boat,Trap fishing,Fishery disasters,Small fishing boat safety,Automation of fishing operations | 50000000 | |
105 | 2022 | 국가표준기술개발및보급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8884 | 스마트제조 고도화를 위한 AAS(Asset Administration Shell) 적용 가이드라인 및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표준기반 구축 | Establishment of guidelines for the application of AAS(Asset Administration Shell) for smart manufacturing advancement and data standards for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 이인재 | 사단법인 한국산업지능화협회 | 경기도 성남시 | 20200401 | 20231231 | 기타 정보기술 | □ AAS(Asset Administration Shell) 국내 적용 가이드라인 마련 1건□ 스마트제조 관련 산업체 교육 1건□ 스마트제조 표준기술 세미나 1건□ 스마트제조 표준화포럼 운영 1건□ 설계/제조 분야 인공지능 적용 학습 데이터 제작 관련 국제표준 기고서 발표 1건□ 설계/제조 분야 인공지능 적용 학습 데이터 제작 관련 국가표준 예고고시, 의견... | □ 설계/제조 분야 인공지능 적용 학습 데이터 표준 개발○ 성장이 정체된 주력 제조업 분야(철강, 석유/화학, 기계산업 등)에서 데이터/AI 기반 스마트 공정 도입으로 생산 최적화 및 비용 절감, 산업 전반적으로 데이터/AI를 활용한 맞춤형서비스, 비용 절감 등을 통해 수익성 극대화□ AAS 표준적용 가이드라인 개발○ 스마트공장 고도화를 위한 AAS기반 표... | 자산관리쉘,적용 가이드라인,인공지능 활용,학습용 데이터,표준기반 구축 | Asset Administraion Shell,Application guideline,Artificiatl intelligence utilization,Learning data,Standardbased infrastructure | 120000000 |
602 | 2021 | 로봇산업기술개발(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3409 | 자동차분야 제조공정 개선을 위한 제조로봇 활용 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Industrial Robot Utilization Technology to Improve Manufacturing Process in the Automotive area | 양정직 | 한국자동차연구원 | 충청남도 천안시 | 20200501 | 20231231 | 기타 정보기술 | [2차년도 정량적 목표] - 공정분석 : 4건 이상 - 수요조사 : 10개 기업 이상 - 로봇활용 공정모델 개발 : 4건 - 매뉴얼 제작 : 4건 - 컨설팅 지원 : 8건[2차년도 개발 목표] - 자동차 시트 부품 및 생산공정 관련 자료수집 및 분석 - 자동차 시트 생산업체 대상 수요조사 실시 및 대표공정 선정 - 로봇활용 공정모델 개발 - 매뉴얼 제작 및... | - 자동차 시트 생산공정 중 제조로봇 도입이 시급한 주요공정 파악- 자동차 시트 생산업체들을 대상으로 최적의 로봇 운영 환경을 구현할 수 있는 로봇활용 비즈니스모델 개발기술 확보 * 테스트베드 구축 및 시범운영을 통한 개발기술 적절성 검증 가능- 관련 매뉴얼 구축 및 배포를 통하여 자동차 시트 생산업체들의 원활한 로봇 도입 및 운영 가능- 자동차 시트 ... | 자동차분야,제조공정,공정개선,제조로봇,공정모델 | Automotive area,Manufacturing process,Process Improvement,Industrial Robot,Process Model | 1300000000 |
664 | 2021 | 국가표준기술개발및보급(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2214 | 고레벨 자율주행을 위한 긴급대응 기능(MRM Minimal Risk Maneuver) 시험평가방법 국제표준 개발 | automated driving | 유시복 | 한국자동차연구원 | 기타 기타 | 20200401 | 20231231 | 기타 정보기술 | ▷ NP제안 (NP 승인 1건) ISO TC204 WG14 - ISO 23793 Minimal Risk Maneuver for Automated Driving - Part 1 Framework, Straight Stop and In-Lane Stop - ISO 23793 Minimal Risk Maneuver for Automated Driving... | 3개의 표준안 중 1개 이상을 NP 승인 - ISO 23793 Minimal Risk Maneuver for Automated Driving - Part 1 Framework, Straight Stop and In-Lane Stop - ISO 23793 Minimal Risk Maneuver for Automated Driving - Part 2 Adja... | 자율주행,자율주행 긴급상황,MRM,폴백,고레벨 자율주행 | Automated Driving,Emergency during Automated Driving,Minimal Risk Maneuver,Fallback,High level Automated Driving | 123520000 |
168 | 2022 | 해양산업수요기술개발사업 | 해양수산부 |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 1525012648 | 가스 위험 선박 및 해양플랜트의 폭발화재 안전성 강화를 위한 영상분석 기반의 종합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 유시안 | 재단법인 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 부산광역시 영도구 | 20210401 | 20221231 | 기타 정보기술 | ㅇ Video Analysis (영상분석) 기반의 화재/연기 감시 특허 기술을 상용화 구현해 가스 선박 및 해양플랜트에 적용 가능한 방폭형의 종합 안전모니터링 장치를 개발ㅇ 조선사 Test-bed 활용한 현장적용 테스트를 통해 수요처 평가 수검, 본 Track-record 확보 실적 활용 선주 홍보에 활용함 ㅇ 사업화 필수적인 IECEx(국제방폭인증), A... | □ 기술적 측면 기술개발 성과ㅇ VFD (Visual Flame Detector) 기능 내장한 방폭형 영상장치 - 화재, 연기(화재폭발 안전) + 영상(보안) 동시 모니터링으로 선박 및 해양플랜트 엔지니어링 비용 절감 - 해외 선행제품(기존 탑재중인) 대체 국내 개발품 적용, 조선사 기술수요 대응 □ 산업적, 사회적 측면 사업화 성과ㅇ사업화 ... | 선박 및 해양플랜트,폭발화재 안전성강화,영상분석 기반,보건·안전·환경,종합모니터링 | gas hazardous ships and offshores,enhance the safety of explosion fire,video analysis,H S E,comprehensive safety monitoring systems | 77500000 | |
607 | 2021 | 해양산업수요기술개발사업(R&D) | 해양수산부 |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 1525011536 | 해양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위험 기상 대응용 AI 비전을 적용한 광도 제어 기능 및 이중반사 시스템이 적용된 LED 중형등명기 기술개발 | 정광현 | 한국광기술원 | 광주광역시 북구 | 20200518 | 20211231 | 기타 정보기술 | ○ 항로표지는 해양사고 예방 및 선박의 안정항해를 지원하는 시설로써 등대, 등표, 도등, 등부표 등이 있으며 주간에는 형상과 도색으로 야간에는 불빛으로 항행정보를 제공하는 지표로 시각표지의 요건에 충족해야 된다. 하지만 해무가 많이 발생하는 시기 연안 무인등대나 항만 입출항로 방파제등대의 광달거리는 현저히 떨어져 해상교통안전에 큰 위험요소가 된다. 따라서 ... | ○ 기술적 측면 ■ 본 연구를 통하여 개발하고자 하는 AI 비전기술이 적용된 해상용 등명기는 항로표지로써의 역할이 중요하며 광파 표지로서 활용가치가 높고, 해당 해상용 등명기를 연구개발함으로써 얻어지는 해기술 통합한 제어기술을 활용하여 기타 항로표지의 제작과 LED와 AI 융합 활용 조명분야 기술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음○ 경제적 산업적 측면■ 국제항로... | 위험 기상 조건,인공지능 비전,광도 제어,이중반사 시스템,LED 중형등명기 | Dangerous weather conditions,AI vision,Luminous intensity control,Dual reflection system,LED marine signal light | 92000000 | |
241 | 2022 | AI기반스마트하우징기술개발사업(국토부) | 국토교통부 |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 1615012564 | AI기반 스마트하우징 플랫폼 및 서비스 기술개발 | 채창우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경기도 고양시 | 20220101 | 20231231 | 기타 정보기술 | 사용자 중심의 안전 · 쾌적 · 편의 보장을 위한 미래형 주거 인프라인 개방성/유연성이 확보된 AI 기반 스마트하우징 플랫폼 및 지능형 스마트하우징 융합 서비스 개발- 주택과 거주자의 유기적 소통을 통해 최적화된 주거 환경 및 편의 제공이 가능한 개방형 AI 기반 스마트하우징 플랫폼 개발 및 실증- 안전 · 쾌적 · 편리한 주거생활을 지원하고 효율적 유지... | - 스마트하우징 보급 활성화를 위한 정책 제도 - 스마트하우징 플랫폼 가이드라인 - 스마트하우징 실증 구축 및 검증 - 스마트하우징 주거 서비스 표준체계 및 프레임웍 - 스마트하우징 표준모델 가이드라인 - 스마트하우징 서비스 비즈니스 모델 - 지능형 주거서비스 구현을 위한 스마트하우징 플랫폼 - 스마트하우징 공간정보 데이터 분석 및 AI 서비... | 인공지능,스마트하우징,주거서비스,하우징플랫폼,블록체인 | Artificial Intelligence,Smart Housing,Residential Service,Housing Platform,Block chain | 3580340000 | |
566 | 2021 | 고부가가치식품기술개발(R&D) | 농림축산식품부 |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 1545024434 | 공유형 식품 빅데이터 확보와 신규 정보 생산을 통한 집적 및 가공 & 플랫폼 구축 이후 운영방안 제시 | 이명숙 | (사)한국영양학회 | 서울특별시 강북구 | 20210401 | 20251231 | 기타 정보기술 | ○ 빅데이터 및 한국인 영양소섭취기준을 기반으로 인체상태별 식이관리 방법 관련 정보를 확인하고 타당성을 검증함. | · 기술적 측면 ● 국민들의 경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삶의 질을 중요시하는 경향으로 변하고 있으며 보다 높은 수준의 의료서비스에 대한 욕구가 증대됨. 맞춤형/예측 의학을 통해 사회적욕구를 해결함. ● 한국인 코호트 및 Big data를 이용한 생애주기별 질환의 원인 탐구를 통한 질환- 환경-유전 정보 DB 구축은 질병모니터링 기술의 국가경쟁력 향상에 기여.... | 빅데이터,한국인 영양섭취기준,개인 맞춤형 식이관리,인체유전체,정보 콘텐츠 | Big data,KRIs,Personalized diet s management,Human genomics,Inflrmal contents | 95000000 | |
419 | 2021 | 중소기업지원선도연구기관협력기술개발사업(R&D) |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1425151059 | 디지털 클러스터 실주행 한계상황 검증용 신뢰성 장비 개발 | 문철우 | 한국자동차연구원 | 경기도 수원시 | 20201101 | 20211031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 실주행상황에서의 디지털 클러스터 한계상황 모사가 가능한 HILS기반의 디지털클러스터 신뢰성 검증장비 개발 - 디지털클러스터 필드데이터 분석 및 한계상황 정의 - 차량 및 부품기반의 디지털클러스터 한계상황 평가 시나리오 개발 - 차량 및 주요핵심부품 모델링 및 한계상황 모사알고리즘 개발 - HILS기반의 디지털클러스터 검증용 장비 개... | - 개발 효율에 따른 원가절감 효과 · 양산 개발 시 디지털 클러스터 신뢰성 장비 활용에 따른 개발 효율성 약 20% 증가 예상 : 문제점 전체 개수의 감소 : 개발 초기부터 문제점을 해결하기 때문에 기능 통합에 따른 시스템 안정성 제고 ▶ 소프트웨어 리그레션 (regression) 문제나 사이드 이펙트 감소 · 차량 모델 당 약 1억원 ... | 디지털클러스터,한계상황,신뢰성검증,실시간 시뮬레이션,차량상태정보 | Digital Cluster,Critical Situation,Reliability Validation,RealTime Simulation,Vehicle Status Information | 152450000 | |
155 | 2022 | 지역맞춤형재난안전문제해결기술개발지원(R&D) | 행정안전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315001764 | 지능형 광융합센서를 이용한 도시도로시설 이상감지 및 사고예방 시스템 개발 및 실증 | Development and demonstration of abnormal diagnosis and accident prevention system for city road facility based on intelligent photonic convergence sensors | 김영호 | 한국광기술원 | 기타 기타 | 20200401 | 20221231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지능형 광융합센서 기반 교통감지 시스템 현장 실증 - 광융합센서(분포형 광센서 및 스캐닝 센서) 기반 교통감지 시스템 현장검증 및 신뢰성 테스트 - 지역 내 도로시설의 교통안전 시스템 시공설치 및 교통감지 시스템 구축 - 돌발상황 시나리오에 따른 교통감지 시스템 실증 테스트 수행 - 사고 대응 시나리오 및 지역 재난관리 개선방안 도출 | ○ 기술적 측면 - 기존 교통안전 시스템 대비 고성능 인지/예방시스템 원천기술 개발 - 첨단 광융합기술센서 적용을 통해 날씨, 조명, 주변환경 등에 무관한 고신뢰 교통 시스템으로 활용 - 야간 활용 시 적외선 카메라 등 부가장치를 사용해야하는 CCTV 대비 날씨, 조명, 환경 등에 영향을 받지 않고 다양한 도로시설에 활용 가능 - 광주의 ... | 도로시설 감지,사고예방 시스템,분포형 광센서,스캐닝 라이다 센서,지능형 데이터 분석 | Road facility diagnosis,Accident prevention system,Distributed fiber sensor,Scanning Lidar Sensor,Intelligent data analysis | 747334000 |
444 | 2021 | ICT기반항만인프라스마트재해대응기술개발(R&D) | 해양수산부 |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 1525011874 | 항만 시설물의 재해 위험도 평가지표 개발 | 최정욱 | (사)한국콘크리트학회 | 서울특별시 강남구 | 20210401 | 20251231 | 기타 정보기술 | 본 연구의 최종 목표는 「항만 인프라의 재해 및 노후화 관리를 위한 빅데이터/디지털 트윈 기반 가상화율/시각화정확도 90% 이상의 항만 인프라 관제 시스템 개발 및 정확도 95% 이상의 노후도/재해위험도 평가 기술개발」 개발임. 이를 위하여 1. 디지털 트윈, 빅데이터 기반 항만인프라 관제 시스템 개발, 2. 항만시설물 노후도 및 재해 위험도 평가 기술 개...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스마트 항만 인프라 안전관리를 위한 관제 시스템으로 활용- 노후 항만 인프라 성능개선 방안 제시- 재해 발생 시 항만 시설물의 복구, 상태, 비용 등에 관한 방안 제시- 개선사항에 대해 시뮬레이션을 통한 적합성 판단 및 보완사항 도출- 각 항만의 시설물 파악을 통한 최적의 재해 솔루션 도출(기대효과)1. 기술적 측면- 관련 기술을... | 항만 인프라 관제 시스템,디지털 트윈-빅데이터,재해 및 노후화 시뮬레이션,노후화 예측,재해 위험도 | Control System for Port Infrastructures,Digital Twin and Big Data,Disaster and Deterioration Simulation,Deterioration Prediction,Disaster Risk Level | 100000000 | |
430 | 2021 | IoT기반지능형항만물류기술개발(R&D) | 해양수산부 |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 1525011062 | 항만물류자원 공유 플랫폼 기술 개발 | 양현석 | 해운항만물류정보협회 | 부산광역시 동구 | 20200410 | 20220331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 항만물류자원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공유 플랫폼 기술개발 ● O2O 공유 플랫폼 기술개발 ● 항만 IoT 플랫폼 연계 기술개발 ● 기존 TOS 연계 기술개발 ● 반·출입차량 정보 연계 기술개발 ● 항만 내 물류자원 공유 기술개발 ● 항만 물류자원(공컨테이너, 섀시) 공유 기술개발 ● 항만 외 물류자원 IoT 디바이스 개발 ● 항만 내 물류자... | [활용계획]○ 기 수립된 테스트 베드(신선대 부두)구축 계획에 따라 시범운영 시 해당 부두의 선석을 가상으로 분리 운영하여 향후 다양한 터미널 운영사에 걸쳐 현장적용 시 안정적인 도입가능○ 공유대상 항만물류자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하여, 항만물류자원 DB 구축, 유지보수의 체계화 및 전문화가 기대되며, 향후 개발된 플랫폼 기반 항만물류자원 리스/렌탈/풀링 산업... | 항만물류자원,공유 플랫폼,정보연계,지능형 매칭,수요공급 예측 | Port Logistics Resources,Sharing Platform,Information Link,Intelligence Matching,Supply Demand Prediction | 30000000 | |
264 | 2022 | ICTR&D우수IP창출활용지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1711152687 | ICT 표준필수특허 검증 | ICT R&D excellent IP creation and utilization support | 유원경 |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 서울특별시 마포구 | 20210401 | 20241231 | 4세대 이동통신 | 글로벌 표준특허권자와 라이선스 협상을 하는 ICT 중소·중견기업이 부당한 조건으로 과도한 로열티를 지급하지 않도록 하여 기업의 기술·경영환경 개선 및 ICT 산업경쟁력 강화ㅇ ICT표준필수특허 검증 - 표준 특허풀 또는 개별특허권자가 요구하는 로열티 대상 특허들을 검토하기 위해 특허권자가 주장하는 특허리스트의 표준과의 부합성 여부, 표준특허의 법적 상태 ... | ㅇ 표준필수특허 라이선스 협상 대응 인프라 구축 - 산업계 대상 표준필수특허 라이선스 협상 지원을 통한 로열티 절감 - 표준특허 라이선스 정보제공을 통한 기업 경쟁력 제고 - 산학연 표준필수특허 라이선스 협상 협력체계 마련 ㅇ 표준특허 라이선스 협상의 대응 역량이 부족한 국내 기업들의 협상력을 높여 효과적인 라이선스 협상이 가능 - 표준필... | 5G 인공지능,선행기술,특허소송 기술료,특허풀,표준특허 | 5G AI,Patent Pool,Patent litigation Royalty,Prior art,SEP | 750000000 |
379 | 2021 | 소재부품장비전략협력기술개발(R&D) |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1425156441 | 6G 대응이 가능한 복수 유닛(twin)을 가지는 2 x 34 파장 선택 스위치 모듈 개발 | - | 김제민 | 한국전자기술연구원 | 경기도 성남시 | 20211008 | 20211121 | 대용량 광전송 시스템기술 | - 연차별 광학 성능 항목 및 성능 목표 기획 - Telcordia 기준을 고려한 연차별 신뢰성 성능 목표 기획 - 광 시뮬레이션을 통한 twin 2x34 구현 가능한 광 아키텍쳐 구성 및 광성능 값 도출 - 지적 재산권 분석을 통한 해외 선진 기술의 분석 및 독자 기술 확보 가능성 확인 | * 기술적 기대효과 - 100G 혹은 400G이상의 코히어런트 광통신망에 flexible grid WSS를 적용하면 파장 자원을 유동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초고속 메트로 및 장거리 차세대 네트워크 구축이 가능 - LCoS 엔진 기반의 SLM(Spatial Light Modulator)은 Optical Radar, 다양한 형태의 광센서, 성분 분석을... | 전송망,엘코스,파장선택스위치,액정,재설정식 광분기결합장비 | Network,LCoS,Wavelength selective switch,LC,ROADM | 15000000 |
20 | 2022 | 국가표준기술개발및보급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81003 | 대화형 인공지능 서비스를 위한 챗봇 핵심기술 참조시스템 국제표준 개발 | Development of international standard for chatbot core technology reference system for interactive artificial intelligence service | 임성준 | 사단법인 한국산업지능화협회 | 경기도 성남시 | 20220401 | 20251231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o 대화형 인공지능 서비스 사례/기술 분석 - 대화형 인공지능 서비스 기술군에 대한 정의 및 주요기술에 대한 참조구조 파악기술군주요기술제목지능화 기술훈련 기술, 추론 기술호환 기술연동모델, 메타데이터, 연동 평가 프로세스윤리성&공정성 기술챗봇 모델의 편향성 완화/제거, 편향 측정 및 툴, 학습 데이터 편향 완화/제거프라이버시 보존 기술프라이버시 보호 ... | ㅇ 기대효과 - (과학 기술적 측면) 대화형 AI기술의 중요 요소들이 파악되고, 표준화를 위한 체계적인 로드맵이 구성되어 대화형 AI기술 표준화의 발전이 이뤄질 수 있음 - (경제적 산업적 측면) 열린 주제를 다루는 챗봇으로 발전되는데 기여, 서로 상이한 챗봇 서비스가 공통된 화행을 인지할 수 있도록 화행인식 구조의 표준화를 통해 챗봇 서비스 간 상호운... | 자연어처리,인공지능,머신러닝,대화형 인공지능,참조구조 | NLP,AI,ML,Conversational AI,reference architecture | 90000000 |
77 | 2022 | 차세대지능형반도체기술개발(설계·제조)(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9211 | 고효율 초저전력 경량 엣지 디바이스용 소자회로 및 SoC 개발 | The development of High efficient low power circuit element and SoC for the light weight edge device | 황태호 | 한국전자기술연구원 | 기타 기타 | 20200401 | 20231231 | 기타 정보기술 | □ 경량 지능형 엣지 SoC를 위한 요소기술 고도화□ 전자부품연구원* SNN/ML 알고리즘 Hybrid 구조 연구* 1차 SoC 기능 검증 및 하드웨어 IP 수정 설계* 2차 SoC 제작을 위한 하드웨어 IP 최적화 * 지능형 경량 엔진 S/W 프레임워크 기능 추가 및 검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지능형 대기모드를 지원하는 경량 엣지 SoC 플랫폼 개발* 지... | ○ 1차 SoC 검증을 통한 최적화된 지능형 경량 엔진 및 특징점 추출 IP 확보○ 1차 경량 지능형 엣지 SoC 기능 검증 및 2차 SoC를 위한 수정 사항 분석○ 1차 SoC를 활용한 프로토타입v1 모델(지오비젼), life long data set 수집용 디바이스 시작품 제작 및 검증○ 지능형 대기모드를 지원하는 저전력 MCU 확보○ 1차 SoC 분석... | 엣지디바이스,시스템온칩,뉴로모픽,온칩학습,신호처리 | Edge Device,SoC,Neuromorphic,Onchip learning,signal processing | 2772652000 |
240 | 2022 | 국토교통지역혁신기술개발사업 | 국토교통부 |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 1615012810 | 7 W/m·K 및 평균 표면온도 5°C 이상급 열전도성 콘크리트 기반 IoT 에너지하베스팅 열공급 융설 시스템 기술개발 | 김홍기 | 우리기술 주식회사 | 세종특별자치시 세종특별자치시 | 20210401 | 20231231 | 기타 정보기술 | 7 W/m·K 및 평균 표면온도 5°C 이상급 열전도성 콘크리트 기반 IoT 에너지하베스팅 열공급 융설 시스템 기술개발강원도 및 세종 지역 내의 현안문제인 도로결빙/블랙아이스 발생을 예방하며, 도로포장체로서의 기계적인 성질과 내구성 확보가 가능한 열전도성 콘크리트 개발과 여기에 적용하기 위한 열공급체계에 적합한 재료 선정과 태양광을 활용한 IoT기반 Pow... | ○ 친환경 발열콘크리트 복합재료 선정 및 개발● 7 W/m·K 이상 열전도율을 가진 자기발열 시멘트 복합체의 개발, 폴리실리콘 슬러지 및 흑연의 경우 재료 자체가 가지고 있는 물리적 특성이 우수하여 열안정성이 우수하고 부식, 파괴 등이 발생하지 않아 복합체 내에서 물리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 에너지하베스팅을 통해 전력 공급이 가능한 발열체가 임베디드 ... | 열전도성 콘크리트,에너지하베스팅,태양광 패널,융설융빙,블랙아이스 | Thermal Conductive Concrete ,Energy Harvesting,Solar Panel,Deicing,Black Ice | 744000000 | |
572 | 2022 | 노인·장애인 보조기기 연구개발 | 보건복지부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1465036046 | 시각장애인의 비대면 생활을 위한 보급형 촉각패드 및 점자단말기 개발 | Development of low-level tactile pads and braille terminals for non-face-to-face living of the visually impaired | 조호근 | 사단법인 한국장애인고용안정협회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 20210401 | 20231231 | 멀티미디어 단말기 및 운영체계기술 | ● 점자와 그래픽 표현이 모두 가능한 촉각 셀 구동 액추에이터 보드 개발● 점자와 그래픽 표현이 가능한 점자 정보 단말기 개발 ● 촉각 그래픽 점자 정보 단말기용 서비스 소프트웨어 개발 ● 휴대 가능한 보급형 점자 정보 단말기 개발● 휴대 가능한 보급형 점자 정보 단말기용 서비스 소프트웨어 개발● 시제품 및 소프트웨어 현장 교육 및 실증을 통한 실용성 확인... | ●연구개발 성과의 활용 방안 1) 사업화 방안 가. 국내 및 해외 보조공학기기 전시회 참가를 통해 Braille Graphical Display 제품의 지속적이고 적극적인 홍보 : 대한민국 보조공학기기 박람회, (SightCity (독일), ATiA (Assistive Technology Industry Association) (미국),... | 시각장애인,보조공학기술,비대면교육,재택근무,촉각그래픽 | Visually Impaired,Assistive Technology,Ontact Education,Telecommute,Tactile Graphic | 30000000 |
693 | 2021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35523 | 고성능 SSD에 특화된 압축 알고리즘 및 아키텍처 개발 | Developing compression algorithm and architecture for high performance SSD | 김순태 | 한국과학기술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10601 | 20220531 | 고밀도 정보저장장치 기술 | 최근 인공지능 시대의 등장으로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높은 데이터 처리하는 고성능 SSD (Solid State Drive)를 요구한다. 또한, 고성능 SSD에 압축 기법을 적용하면 데이터의 크기를 최대 90%까지 줄 일수 있어 큰 도움이 된다. 그러나, 압축은 필연적으로 압축 및 압축 시 발생하는 지연시간을 요구하기 때문에, 고성능 SSD성능에 악영... | 본 연구의 기술적 측면의 기대성과는 다음과 같다. 물리적 하드웨어의 특성상, 하나의 저장 매체에 저장 가능한 데이터의 총량은 제한되어 있다. 이를 물리적 형태로 해결하고자 한다면 추가적인 소자와 회로가 필요하여 공간적, 비용적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데이터 압축 알고리즘을 통해 논리적 저장 데이터 총량을 감소시킨다면, 추가적인 공간 및 비용의 문제없이 효과... | 저장 장치,비휘발성 메모리,압축,알고리즘,데이터 패턴,내장형 소프트웨어,하드웨어,병렬성 | Storage device,Non-volatile memory,Compression,Algotirhm,Data pattern,Embedded software,Hardware,Parallelism | 46731000 |
292 | 2022 | 국가표준기술개발및보급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8756 | 착용형 유무선 전자 발열제품의 성능 평가법 국제표준 개발 | Development of international standards for performance test method of wearable wirewireless electronic heating products | 전영민 | KOTITI 시험연구원 | 기타 기타 | 20210601 | 20251231 | 기타 정보기술 | o 목표 : 유/무선 착용형 전자 발열 제품의 물리적 성능평가법 NP 제안/승인 [주관연구개발기관(KOTITI시험연구원)] o 유/무선 착용형 전자 발열 제품의 성능 평가법 개발 o 표준 제정을 위한 국제 표준화 활동 o 전문가 위원회 운영 [공동연구개발기관1(㈜장은에프앤씨)] o 착용형 전자 발열 제품 시장 조사 o 착용형 전자 발열 제품 샘플... | [과학 기술적 측면] ○ 착용형 전자 발열 제품에 대한 객관적인 성능 평가 기술 확보를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 분야의 기술 및 제품 개발을 기여할 수 있음. ○ 다양한 산업에서의 발열/냉각 성능 또는 현상에 대한 측정 방법으로의 적용이 가능하여 정교한 기술 개발 및 안전성 확보에 기여할 수 있음. [경제적 산업적 측면] ○ 착용형 전자 발열 제품... | 웨어러블 디바이스,전기 발열,전자섬유,전기 전도성,표준 | Wearable device,electronic heating,etextile,electronic conductivity,Standard | 144290000 |
487 | 2021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36519 | 감성형 인공지능을 이용한 자기주도형 온라인 교육 인지증강/개발 및 치매 예방 알고리즘 개발 | Cognitive reinforce/development for self-directedlearning of online education and algorithm development of cognitive related for dementia prevention using emotional AI | 김동화 | 대덕과학기술사회적협동조합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10601 | 20240229 | 신호처리기술(영상·음성처리·인식·합성) | 최종목표 : 자기주도형 온라인 교육 효과 극대화를 위한 감성패턴분석/인지증강 및 치매 예방 알고리즘 개발1단계 : 온라인교육 극대화를 위한 데이터베이스구축 (감성의 3D, 벡터화를 통한 한국형 감성 특징 패턴추출/분석 및 활용성제고를 위한 데이터 베이스 구축). 2단계 : 알고리즘 개발 (데이터 기반 인지증강 알고리즘 개발 및 치매 예방 데이터 추출/알고리... | - 온라인교육을 위한 자기주도형 학습인자 개발/데이터확보 (감성패턴을 3D, 벡터화를 통해 타 한국형감성데이터확보 및 타분야 활용방법 제시. -온라인 학습자의 감성데이터를 기반으로 자기주도로 학습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인지 증강 특성 및 방법을 제시. K-12 (초등학교부터 고교까지의 교육과정) 은 물론 온라인 직업교육 (실업계)의 교육극대화에 활용.- ... | 자기주도학습,치매예방,감성데이터,온라인교육,인공지능,인지증강 | cognitive,online education,dementia prevention,emotion robot,AI,self directed learning | 30324000 |
341 | 2022 | 국토교통기술사업화지원 | 국토교통부 |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 1615012853 | 국도형스마트신호운영 관리시스템 개발 | 이기웅 | 주식회사 동부아이씨티 | 경기도 안양시 | 20210401 | 20231231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국도에 최적화된 인공지능 신호운영 관리시스템 개발]- 교통정보 분석을 위한 카메라/레이더 융합형 인공지능 교통정보센서 개발- 빅데이터 분석 및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통한 스마트신호운영시스템 개발- 도출된 신호운영변수를 적용하여 교통변화량을 평가할 수 있는 SUMO Simulation 기반 연동교차로 네트워크 평가시스템 개발- 시범사업을 통한 스마트신호운영 ... | - 본 연구은 교통신호제어기술과 인공지능기술의 융합으로 새로운 도로교통기술의 표준을 제안함- 센서 단선 등 루프검지기의 잦은 고장으로 인해 현재 운영 중인 감응식 신호제어시스템의 운영률이 극히 낮은 수준인데, 본 연구에서 검지기의 개발 및 설치를 최소화하여 도로시설에 대한 추가 비용을 절약하고, 도로포장 상태 등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기존 검지기에서 발... | 교통신호,인공지능,빅데이터,센서융합,스마트시티 | Traffic Signal,AI,Big Data,Sensor Fusion,Smart City | 900000000 | |
65 | 2022 | 자율주행기술개발혁신사업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8919 | 자율주행 인지예측과 지능제어 차량부품 시험기준 및 표준 평가 기술개발 | Autonomous driving cognitive prediction intelligent control vehicle parts test standards and evaluation technology development | 노형주 | 한국자동차연구원 | 기타 기타 | 20210401 | 20271231 | 기타 정보기술 | [1차년도 주요 개발 목표] o 인지예측/지능제어 차량부품 평가·검증환경 구축 및 1차 평가 o 기상 조건변화 및 조도변화 LAB 기반 모의환경 구축 o 상용인지센서기반 차량탑재용 인공지능 인식 취약성 평가환경 구축 o Fault Injection 테스트 환경 구축 [정량적목표] o Lv.4 자율주행 시나리오 및 Risk 분석 결과서 10건 ... | - 동 과제 2차년도에 구축될 인지예측/지능제어 차량부품 평가·검증환경기반 4대 인지예측센서개발 과제(가변초점 카메라/열영상 융합 3D 카메라/4D-Imaging 레이더/3D-Solid-State Lidar)에 대한 제3자 평가/검증을 통한 1차 시작품 기능확보 정확도 검증, 2차 시작품 개선(3차~4차년도)을 위한 개선요구사항 파악 및 지원이 기대 됨 | 인지예측 센서,센서 검사,센서 정밀도,주행 시나리오,특이 상황 검사 | Cognitive prediction sensor,Sensor verification,Sensor precision,Driving Scenario,Edge case verification | 1597400000 |
554 | 2021 | 국가표준기술개발및보급(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3719 | 선박 데이터 운영 핵심기술 국제표준 개발 | International standard development for ship data operating core technology | 김명진 |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 기타 기타 | 20210401 | 20251231 | 기타 네트워크기술 | o 국제표준화 회의 기고 발표/표준 개발 - 유관 국제표준화 회의 기고 발표 (SC Resolution/WG minutes) - 표준화 기술위원회 추진 구성 및 운영 (5회) - 유관 국제표준화 회의 (SC 총회 혹은 작업반 회의) 참석 (3회) - 표준화 로드맵 도출 1건 | - IMO을 중심으로 스마트선박 표준안 및 규제를 만들기 위한 활동이 본격적으로 진행 중으로 본 사업을 통해 우리나라에서도 발 빠른 대처 및 우리 산업계의 입장을 인식시킬 수 있음 - 시장 형성 초기에 참여하여 글로벌 스마트선박 및 스마트 해상물류 기술개발과 표준 정립 과정에 선진국가로 자리매김할 수 있음 | 국제표준,스마트 플랫폼,스마트 선박,자율운항선박,어플리케이션 | ISO,Smart Platform,Smart Ship,Autonomous Ship,Application | 100000000 |
595 | 2021 | 차세대지능형반도체기술개발(설계·제조)(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2522 | 차세대 반도체 기술개발사업 상용화 지원 | Support for commercialization of next generation semiconductor technology development | 안기현 | 한국반도체연구조합 | 경기도 성남시 | 20200401 | 20261231 | 집적회로기술 | o 차세대 반도체 기술개발 사업 수행 과제 상용화 지원㉮ 목표검증(상용화) 체계구축 및 운영㉯ 총괄워크숍 개최㉰ 수요기업 기술교류회 개최 (융합얼라이언스)㉱ 전문가 자문위원회 개최㉲ 시장동향 및 특허 동향 분석 보고서 작성/배포㉳ 차세대 반도체 기술개발 협의체 운영 | - 인공지능, 자동차, IoT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필요로 차세대 시스템반도체 기술개발츨 통한 세계 반도체 시장에서의 경쟁 우위 선점- 국내 메모리반도체 기술의 경우 공정기술, 제조기술을 기반으로 글로벌 No.1의 지위를 확보해나가고 있는 상황으로 향후 원자레벨(100Å) 소자·공정 기술이 미래 핵심기술로 예상되는바, 관련 원자레벨 장비/부품 기술 확보- 선... | 차세대반도체,시스템반도체,상용화 지원,수요연계,반도체 공정장비 | Nextgeneration Semiconductor,System IC,Support for commercialization,Demand linkage,Semiconductor process equipment | 420000000 |
41 | 2022 | 로봇산업기술개발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8453 | 선박 제조공정 개선을 위한 제조로봇 활용모델 개발 | Development of Manufacturing Robot Utilization Model to Improve Ship Manufacturing Process | 권용섭 | 한국로봇융합연구원 | 경상북도 포항시 | 20210401 | 20231231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개발목표]□ 공정 모델 별 기존 제조 공정 분석□ 실 수요 조사 기반 공정 모델별 상세 시스템 사양 선정□ 시뮬레이션을 통한 공정 모델 설계□ 로봇활용 기술개발 대상 제조로봇 활용모델 o 중형 부재 RC 가공 작업 로봇 공정 모델 o 용접선 자동인식 로봇 공정 모델 o PIPE 절단 작업 로봇 공정 모델□ 추가 기술 수요조사 실시 | [기대효과]□ 공통 적용 항목 o 실 수요처 조사를 기반으로 선박제조분야에서 시장 파급효과가 크고 수작업 의존도가 높은 애로 공정을 파악하여 로봇 확대 적용이 가능하도록 함. o 현장 맞춤식 제작과 생산물품 비표준화 체계의 생산 구조를 가진 선박 제조 분야에 맞춤식 로봇활용 기술 개발을 통해 아래 효과를 기대함 1) 인력 부족 문제 해결 ... | 조선,로봇,용접,사상,절단 | Shipbuilding,Robot,Welding,Grinding,Cutting | 1200000000 |
526 | 2021 | 국가표준기술개발및보급(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4151 | 스마트제조 분야 데이터 표준 개발 및 실증체계 구축운영 | Developing data standards for smart manufacturing and building and operating a system for verification of their interoperability effectiveness | 장홍관 | 사단법인 한국산업지능화협회 | 기타 기타 | 20210401 | 20241231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ㅇ 기업업무 시스템간 상호운용성 실증을 위한 업무 및 시스템 분석ㅇ 실증사례기반 가이드라인 표준 조사 및 현황 분석ㅇ 상호운용성 실증 효과 평가모델 사례 분석ㅇ 데이터 스키마 및 인터페이스 환경 분석ㅇ 데이터 상호운용 표준화를 위한 국내외 사례 연구ㅇ 수요·공급기업 얼라이언스 및 표준화 포럼 구성 및 운영 ㅇ 표준적용 산업체 대상 교육훈련 및 전문인력 양성 | · 제조 전체 가치 창출 사슬을 지원, 제조응용솔루션 통합 및 스마트공장 고도화를 위한 기반조성에 활용· 국내 제조기업의 특성을 고려한 기업내·기업간, 수직·수평 통합 등 비즈니스 프로세스 최적화에 활용 · 인터페이스 중심의 산업데이터를 표준화하고, 장치·설비 데이터 수집용 스키마로 확장 적용하여 AI 기반 생산 최적화에 활용· 제조데이터 표준 스키마 DB... | 스마트제조,산업데이터,표준화,실증,상호운용성 | Smart Manufacturing,Industrial Data,Standardization,Verification,Interoperability | 1242374000 |
151 | 2022 | 해상물류 통신기술 검증 테스트베드 구축 | 해양수산부 |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 1525013066 | 시뮬레이션 평가기술개발 | 황훈규 | 중소조선연구원 | 부산광역시 강서구 | 20220401 | 20251231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 성능검증 디지털포트 시뮬레이션 기술 - 디지털 포트 입출항 성능검증을 위한 시나리오 개발 - 실·가상 해상디지털항만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 트윈 성능검증 디지털포트 시뮬레이션 개발 - 디지털포트-디지털선박 입출항 시뮬레이션 시스템 개발에 따른 항만-선박 운영 최적화 기술 개발 - 디지털포트-실선박 성능검증 시뮬레이션 플랫폼 구축○ 시뮬레... | ○ 해상디지털기술 연계 실현을 통한 물류 효율화 달성 및 해운물류체계에서의 국가 영향력 확대○ 해운물류서비스 디지털화 및 이를 통한 물류시간 단축 등의 서비스 효율화○ 조선·ICT 융합 등 미래 수요를 대비할 수 있는 기술력 확보를 통해 국내 후방산업 역량 제고 및 글로벌 시장 진출 지원○ 세계 최초 디지털트윈 기반 통합 관제 시스템을 통한 해양 분야 디지... | 성능검증,디지털트윈,장비시험,시뮬레이션,디지털포트 | Performance Verification,Digital Twin,Equipment Test,Simulation,Digital Port | 100000000 | |
299 | 2022 | 전자부품산업기술개발(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8362 | 디스플레이산업 고도화를 위한 RnD 및 인프라 연계 제조혁신 플랫폼 구축과 산업경쟁력 확보 지원 | Establishment of Manufacturing Innovation Platform connected with RnD and Infra for the advancement of the display industry and Supporting secure industrial competitiveness | 김용석 | 한국디스플레이연구조합 | 서울특별시 강남구 | 20190701 | 20251231 | 차세대디스플레이기술 | [정량적 목표]- 산업보고서 ≥1부- 규제 개선 건의 ≥1건- 위원회/연구회 운영 ≥9회- 기술교류 워크샵 ≥3회- 신규 기획아이템 및 협력사업 발굴 ≥5건- 기술/시장 자료 공유 ≥30건- 단체표준 제안 ≥1건- 보도자료 배포 등 홍보 ≥1건- 국제협력 네트워크 구축 ≥1건[개발내용]- 사업추진단 운영 및 세부사업관리- 신공정/신소재 관련 국내외 연구 ... | [기대효과]체계적인 사업의 관리 및 운영과 사업 목표 달성을 위한 과제기획으로 2025년 타겟목표의 달성 가능성을 높이며,디스플레이 혁신공정 플랫폼 구축사업의 대국민 홍보와 제조혁신 플랫폼, 기술거래마당의 설계 구축으로 사업화 및 성과확산를 위한 기반 마련[내용]- 사업의 체계적인 관리를 통해 수행기관의 성과 창출과 확산에 기여- 로드맵의 제작과 과제기획을... | 제조혁신 ,디스플레이산업,혁신소재공정,플랫폼 구축,산업경쟁력 확보 | Manufacturing Innovation,Display industry,Innovation of material and processing equipment,Establishment of Platform,Secure industrial competitiveness | 650000000 |
176 | 2021 | 고부가가치융복합물류배송인프라혁신기술개발사업(R&D) | 국토교통부 |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 1615011949 | 육상화물 운송 디지털정보 표준 기반 거래 및 공유ㆍ관리 기술 개발 | 민연주 | 한국교통연구원 | 세종특별자치시 세종특별자치시 | 20210401 | 20251231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 (최종목표) 블록체인 등 신기술을 활용하여 전자운송장·전자인수증 등 기업물류(B2B), 생활물류(B2C) 화물운송 거래에서 활용 가능한 전자문서 시스템을 구축하고 해당 정보를 축적 및 활용할 수 있는 정보관리체계 구축- 기업물류용 화물운송 거래 표준 전자문서 개발 및 공유·관리 시스템 개발- 생활물류용 택배 배송거래 표준 전자문서 공유 시스템 및 배송서... | ○ 본 사업으로 인해 고부가가치 융복합 물류 배송· 인프라 혁신 기술의 국산 기술개발로 국가 기술 경쟁력 강화- 현재 우리나라 물류 기술 수준은 선진국 대비 71.9% 수준이나, 본 사업의 추진을 통해 기술수준을 82.5%까지 향상 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물류 배송 인프라 기술수준을 40% 향상, 기술격차를 40% 감소시키는 것을 가정했을 경우, 물류... | 물류,디지털 전환,운송·배송,표준화,전자문서교환 | Logistics ,Digital Transformation,Transport·delivery ,Standardization,Electronic Data Interchange | 1326454000 | |
642 | 2021 | IoT기반지능형항만물류기술개발(R&D) | 해양수산부 |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 1525010897 | 스마트 항만 IoT 융합·운영기술 개발 | 양현석 | 해운항만물류정보협회 | 부산광역시 동구 | 20200201 | 20220331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 인공지능 미래 예측시스템을 활용한 컨테이너 터미널 운영시스템 클라우드 서비스 기술개발 - 터미널 운영 데이터 분석 및 인공지능(AI) 기반 운영분석 - 결과예측, 시뮬레이션 자동생성 및 항만미래예측, 작업 제어를 지원하는 Terminal Operation AI Module 개발 + 기존 국내외 시뮬레이션 구축 사례 (연구, 상용 서비스 포함) 대비 시... | ○ 기술적 측면 - 4차 산업혁명 분야인 클라우드 기술 적용을 통하여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 확보 및 클라우드 SW 기술 발전에 기여 - 국내 해운 항만 물류 업체에 관련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여 서비스 확장 및 유지관리 향상 - 외부 시스템과의 연계를 통하여 해운항만물류 운영 데이터 교환(EDI)과정에서 누락 또는 중복된 오류 데이터 최소화 - 클라... | 터미널 운영 시스템,인공지능,클라우드,항만안전,항만IoT | Terminal Operating System,AI,Cloud,Port Safety,Port IoT | 86080000 | |
480 | 2021 | 자율운항선박기술개발사업(R&D) | 해양수산부 |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 1525011191 | 자율운항선박 운항 및 사고 기술의 국제표준 개발 | 김영두 |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 세종특별자치시 세종특별자치시 | 20200427 | 20251231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 지능형 항로 의사결정 기능을 갖는 자율운항 시스템 개발 ○ 지능형 항로 의사결정 솔루션(S/W) 1식 ○ 고신뢰도 경로 추종제어 솔루션(S/W) 1식 ○ 자동 이/접안 알고리즘(S/W) 1식 ○ 경제운항 최적항로 설정 솔루션(S/W) 1식 ○ 자율운항/경제운항 공통 서비스 플랫폼[(H/W)+(S/W)] 1식□ 자율운항선박(Ship2Ship2Shore) ... | □ 국내외 건조되는 자율운항선박에 활용하여 미래 조선산업 시장에서 한국형 자율운항선박 기자재 기술 및 플랫폼 기술의 우위 유지에 활용□ 능동형 해상 자율운항/경제운항 시스템으로 고도화 및 확대 적용□ 최적 항로와 더불어 선사별 운항 전략을 적용한 항로 계획 기술을 개발하여 다양한 최적 항로 안을 제안함으로써 자율운항선박에 적용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자율성을... | 자율운항선박,자율운항 통합 플랫폼,해상업무용 디지털통신,사이버보안,원격제어시스템 | Maritime Autonomous Surface Ship,Autonomous navigation platform,VDES,Cyber security,Remote control system | 209000000 | |
562 | 2021 | 홀로그램핵심기술개발(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1711125861 | (세부3)홀로그램 복원 및 측정검사용 저작 모듈 기술 개발 | (3rd part) Development of hologram reconstruction and measurement inspection authoring module technology | 윤선규 | 한국광기술원 | 광주광역시 북구 | 20200401 | 20231231 | 기타 정보기술 | 이중 광원 기반의 레이저 가간섭성을 이용한 반사형 디지털 홀로그래픽 현미경 모듈 개발 - 초고해상도 디스플레이 표면 검사 및 측정 장비에 활용될 수 있는 이중 광원 기반 반사형 홀로그램 복원 및 측정 검사용 저작 모듈 개발 - 종횡비가 10 이하이며, 직경이 수 ㎛인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표면의 via hole을 검사할 수 있는 디지털 홀로... | 요소기술/목표제품/서비스 활용 (사업화를 위한 Business Model ) - 비파괴 검사를 이용한 사회 간접시설의 신뢰성확보홀로그램 기반의 비파괴검사 핵심원천기술 개발로 비파괴검사 시장 선도를 위한 산업 경쟁력 확보와 기술선진국 도약 발판 마련 - 홀로그램 획득 저작 모듈의 조합으로 고품질의 홀로그램을 획득할 수 있는 측정검사용 저작 모... | 깊이 정보,디지털 홀로그램 현미경,위상 펼침,홀로그래픽 광원,홀로그램 복원 | Depth information,Digital holographic microscopy,Holographic light source,Holographic reconstruction,Phase unwrapping | 1224200000 |
661 | 2021 | 무인자율주행기술의언택트서비스실용화기술개발및기술실증(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5314 | 자율주행 기반 언택트 서비스 운영 및 실증기술 개발 | Operation and Demonstration of untact services based on autonomous driving | 이현철 | 한국자동차연구원 | 기타 기타 | 20210401 | 20241231 | 기타 네트워크기술 | [주관기관(한국자동차연구원)] 자율주행 차량 주행 시나리오 구축 자율주행 실증 후보지 기준 수립 실증 후보지 기준 주행 노선 설계 자율주행 운영 인프라 설계 [참여기관1(WAVE.AI)] 데이터 시스템 프로토콜 정의 모니터링 시스템 기능 정의 자율주행 및 언택트 서비스 모니터링 시스템 설계 [수요 및 참여기관... | [과학ㆍ기술적 측면 기대효과] 언택트 스토어·헬스케어 자율주행 위한 부품 시험장착, 검증, 개선용 차량 플랫폼 확보 - 언택트 스토어·헬스케어 자율주행 차량 운영의 실증을 통해 자율주행 유스케이스와 테스트 케이스를 구축, 향후 자율주행 서비스 개발을 위한 체계구축 가능 자율주행 안전 운영시스템 개발을 통한 차량 실증 기술 개발 및 표준화 - 다양한 분야... | 자율주행차,언택트 서비스,헬스케어,무인 스토어,서비스 실증 | Autonomous vehicle,Untact Service,Healthcare,Unmanned store,Service Demonstration | 629640000 |
464 | 2021 | 공간정보기반실감형콘텐츠융복합및혼합현실제공기술개발(R&D)(국토부,산업부,문체부) | 다부처 |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 1615012388 | 저비용.고정밀 실감형 3D 공간객체 모델링 및 갱신 기술 개발 | 이인수 | 한국국토정보공사 공간정보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180416 | 20221231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수요처 맞춤형 실감형 3D 공간정보 갱신 및 활용기술을 개발하여 고정밀 3D 공간정보의 지속가능한 공유 및 활용 생태계 구축을 위한 핵심 기술을 확보 - 무인항공기, 모바일 기기 등을 이용하여 건물 및 도로노면을 저비용/고효율로 3D 모델링 및 매핑하기 위한 실감형 3D 공간정보 모델링 및 갱신 기술 개발- 몰입감과 현실감 있는 실감형 콘텐츠를 활용하는 분... | - 타산업 분야와 3D 공간정보를 공유하여 활용하는 지속가능한 생태계 구축 및 운영을 위한 핵심 기술로 활용- 국토정보 관리를 위한 3D 공간정보의 지속적인 현행화 및 유지 관리 기술로 지자체 및 민간에서 활용- 국내 3D 공간정보의 갱신 및 유지관리 비용 절감 | 3D 공간정보,실감콘텐츠,3D 공간정보 갱신 | 3D geo-sptail information,realistic contents,updating 3D geo-spatial information | 2019000000 | |
361 | 2021 | 첨단생산기술개발(R&D) | 농림축산식품부 |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 1545023601 | 표준화된 시험평가 방식 및 제품인증 체계 개발 | 옥승민 |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 경상남도 창원시 | 20190830 | 20211231 | 신호처리기술(영상·음성처리·인식·합성) | - 바이오인식 활용 동물등록방식을 개발하여 동물등록제 활성화에 기여, 동물 생체정보의 고유성에 대한 학술적 근거 마련 및 표준화된 인증체제 수립- 동물등록방식 개발로 인해 각 참여 주체에 등록의 정확성, 편의성 및 경제성을 제공하고 인증체계의 구축으로 생체인증의 제도화 및 동물등록 활성화를 목표로 함 | - 기존 방식보다 정확성, 편의성이 높은 생체인식 동물등록 방식을 동물등록제 추가- 동물 생체인식 기반 동물등록은 등록된 반려동물을 정부, 지자체, 민간기업(동물병원, 보험사) 등 여러 기관이 다양한 업무환경(구조 현장, 의료시설, 관공서 등)에서 스마트폰으로 관리할 수 있어 반려동물의 전 생애주기를 관리 가능- 동물보호관리시스템 및 유기동물보호소과 연계하... | 비문,홍채,다중생체인식,반려동물등록,유기견 | nose-print,iris,multi-modal biometrics,prt registration,abandoned dog | 60000000 | |
113 | 2022 | 국가표준기술개발및보급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80127 | 지능형 로봇 분야 데이터 표준 개발 및 실증체계 구축 운영 | Development of data standards for intelligent robots and establishment of demonstration systems | 김현 | (재)광주테크노파크 | 기타 기타 | 20220401 | 20251231 | 기타 정보기술 | [주관기관(광주테크노파크)] o 로봇 데이터 표준 기반의 실증체계 구축(1건) - 이동형 서비스 로봇 관련 실증장비 보유기관 및 국내기업(수요자) 간 실증 협력체계 구축 위한 MOU 체결 - 이동형 서비스 로봇기업과 데이터 제공 업무협약 o 지능형 서비스 로봇 실증테스트(1건) - 로봇 데이터 취득·분석을 위한 유사환경 실증 후 시험... | [과학ㆍ기술적 측면] o 실증 중심의 데이터 표준 개발을 통해 주요 선진국과 시장 경쟁 우위 확보 - 지능형 서비스 로봇 실증기술 확보 및 실증 시나리오 기반 표준 제안 - 지능형 서비스 로봇 기반의 실증 인프라 구축으로 국가 경쟁력 확보 및 실증 관련 국제 표준화 선도 o 지능형 서비스 로봇 시대 견인을 위한 사업 기반 마련 및 시장 창출 기대... | 지능형 로봇 실증,로봇 데이터 표준,로봇 상호운용성 평가,로봇 실증체계,이동 조작 서비스로봇 | Demonstration of intelligent robots,Data standards for intelligent robots,Interoperability evaluation for robots,Demonstration system for robots,Service robot with mobility and operability | 473000000 |
221 | 2021 | 정보통신방송표준개발지원(R&D,정보화)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1711125933 | 글로벌 표준 전문인력 양성 및 ICT 융합서비스 표준 프레임워크 개발 | Professional Manpower Training for ICT Standardization and Standard Framework Developement for ICT Convergence Services | 구경철 |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 경기도 성남시 | 20190401 | 20211231 | 기타 정보기술 | ①표준 강소기업 육성, ②국제표준화기구에서의 지위·영향력 확대, ③ICT표준 기반 융합 新산업 확산 o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경쟁력 있는 표준 강소기업 육성과 국제표준화 대응역량 강화를 위한 신진 글로벌 ICT 표준 전문인력 양성 - ICT 표준 전문인력 양성교육 개발 및 수료생 총 1,020명 배출 (1차년도) ICT 표준 전문인... | o (중소기업 표준화 역량강화) 기업의 R&D 역량에 표준화 역량을 더하여, 보유기술의 글로벌 시장 경쟁력 강화o (국제표준화 영향력 확대) 국제표준화기구 의장단 활동 및 국제 인적 네트워크를 활용한 아국 우호적 회의 조율, 국가 ICT 표준정책 지원, 중소기업 표준화 활동 자문, 차세대 표준전문가 양성 등을 통해 국제표준화기구에서의 영향력 지속 확대o (... | ICT 표준,표준 마에스트로,표준 전문인력,표준 프레임워크,표준화 | ICT Standard,Standard Maestro,Standard Professional Manpower,Standardization,Standards Framework | 2640000000 |
503 | 2021 | 지역혁신클러스터육성(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진흥원 | 1415175560 | 오픈랩 연계형 ICT 혁신생태계 조성 사업 | Open-Lab Linked ICT Innovation Ecosystem Creation Project | 권성수 | (재)대전테크노파크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01001 | 20221231 | 고속인터넷 네트워킹기술 | OpenLAB 공간 조성(리모델링 등) 및 사무국 설치 대학원연구실 설치 및 교육 프로그램 개발 정보교류 및 거버넌스 네트워크 구축 제품 성능측정 장비 및 연구시설 구축, OpenLAB 가동 및 활성화 이전공공기관 보유 기술이전 및 사업화 촉진 신기술 융복합을 통한 다양한 혁신제품·서비스 창출 자생적 산·학·연 혁신생태계 조성 및 전후방 산업간 협력 활성화 | 짧은 기술수명과 급속한 기술 융·복합화 등 경영 환경 하에 아이디어 발굴에서 기술개발, 사업화까지 전 과정에 있어서 전방위적 육성 환경 조성 이전공공기관의 공공연구성과 활용 기반의 기술사업화 촉진으로 지역내 기업의 역동성, 산업 경쟁성 및 지역경제 전반의 생산성 향상 등 지역경쟁력과 지속성장의 기반 강화 산·학·연 간 긴밀한 협력체계를 기반으로 대내외 ... | 오픈랩,네트워크,정보통신,사물인터넷,이동통신 | ICT,IoT,5G,Openlab,network | 3734695000 |
394 | 2021 | 소재부품장비전략협력기술개발(R&D) |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1425156432 | LTCC기반 AIP(Antenna In Package),CIP(Converter in Package)를 이용한 5G용 mm파 FEM개발 | 5G mm-wave FEM using LTCC based AIP CIP | 김준철 | 한국전자기술연구원 | 경기도 성남시 | 20211008 | 20211121 | 기타 정보통신 부품기술 | - 명확한 제품 기획을 통한 개발직후 시장진입이 가능한 효율적 계획 수립 - 선행기술 특허 분석을 통한 회피 및 기술보호의 전략적 설계 - 잠재고객군 분석 및 연락/협의를 통한 개발제품 응용영역 및 시장 확대 계획 | - mm파 대역 AIP 및 CIP 기술 개발은 LTCC와 같은 system package 기술을 활용하여 가능하고, 이를 통해 mm파 부품 및 모듈에 대한 국산화 기술 확보가 가능- 성공적 5G용 mm파 부품 및 모듈 시장 진입을 발판으로 항공, 선박용 Data-link 부품 및 우주산업용 통신부품 시장으로의 확대 진입 가능- mm파 5G용 핵심 기술 개발... | 5세대 이동통신,mm파,배열 안테나,빔포밍,안테나 일체형 패키지 | 5G Communication,mm wave,Array Antenna,Beam forming,Antenna In Package | 15000000 |
175 | 2021 | 기초연구기반구축(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48218 | 전문연구정보 중앙센터 | National Research Information Center(NRIC) | 이재방 | 한국연구재단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140501 | 20260228 | 정보검색 및 DB기술 | 전문연구정보 중앙센터의 연구목표는 전문연구정보센터의 정책기획 및 발전전략 수립을 통해 분야별 전문연구정보센터에서 수행하는 연구정보 인프라 구축을 지원하고, 구축된 연구정보의 공동 활용을 촉진하여 기초 연구사업의 활성화를 도모하는데 있다. 이를 수행하기 위해 다음의 사항을 추진한다. - 전문연구정보 중앙센터 운영 및 관리체계 개선 - 전문연구정보센터 성과관... | - 분야별 전문연구정보 중심의 과학기술 지식기반 서비스로 기초연구 활성화제고 - 국내?외 기초연구 분야 연구자 간 정보 공유 및 소통의 장(커뮤니티) 마련 - 연구자, 기업 및 정책 입안자 간 연구정보 공유?확산, 정책의견수렴 등 소통 창구를 활성화 하여 연구정보 생산과 유통의 선순환 구조 플랫폼 확대 | 중앙센터,전문연구정보센터,기초연구 활성화,연구지식정보,수집, 가공,재생산,특성화 정보 서비스,연구자 커뮤니티 | NRF, Research, Korea, Science | 545000000 |
399 | 2021 | 소재부품장비전략협력기술개발(R&D) |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1425157676 | 무기물 표면개질 및 실리콘 합성기반의 전기자동차용 방열 접착소재개발 | Development of thermally dissipative adhesion material for electric vehicle based on inorganic filler modification and silicone polymer synthesis | 이우성 | 한국전자기술연구원 | 경기도 성남시 | 20211220 | 20241219 | 기타 정보통신 부품기술 | ○ 기능성 폴리머의 합성 및 방열 절연 접착제 제조기술 개발기대효과○ 열관리 소재(TIM)의 세계시장은 25년 80억 달러로 성장할 전망(Global Market Insight)이며, 전기자동차 시장의 급성장에 따라 전장부품 핵심소재인 방열 실리콘 접착제의 수요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음. - 국내 주력 성장 산업인 전기자동차, 배터리에 적용되는 방열 실... | ○ 열관리 소재(TIM)의 세계시장은 25년 80억 달러로 성장할 전망(Global Market Insight)이며, 전기자동차 시장의 급성장에 따라 전장부품 핵심소재인 방열 실리콘 접착제의 수요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음. - 국내 주력 성장 산업인 전기자동차, 배터리에 적용되는 방열 실리콘 접착소재의 원천기술 확보 및 국산화를 위한 과제기획이 필요함 ... | 실리콘 폴리머합성,자동차용 접착제,포팅접착제,고방열접착제,필러네트워크구조 | Silicone polymer synthesis,Adhesive for automotive power ,Potting Adhessive,High thermal adhesive,Filler Network structure | 214000000 |
15 | 2022 | 국가표준기술개발및보급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8310 | 스마트제조를 위한 데이터 가시화 표준 개발 (디지털트윈 PLMMES PID) | Development of Data Visualization Standard for Smart Manufacturing Digital Twin PLMMES and PID | 한순흥 | (사)스텝센터 | 기타 기타 | 20190701 | 20221231 | 기타 정보기술 | 1. 국제규격 : DIS작성, 제출 및 승인○ IS: 스마트 제조환경의 시각화 구성요소 ISO 국제표준 DIS작성, 제출 및 승인2. 국가규격 ○ 지능형 P&ID 상호 호환을 지원하는 KS 표준 제정3. 국제표준화활동○ ISO/TC 184/SC 4/JWG 16 컨비너 유지○ 국제회의 참가 JWG 16 주최4.기반구축○ 독일 PROSTEP AG/iVIP와... | ○ 기술적 측면- 스마트제조 관련 선도 기술 개발 선도- 실제 시스템 (피지컬 트윈)의 센서 결합을 통한 실시간 데이터 업데이트- 피지컬 트윈의 물리적 구성 및 프로세스를 실시간으로 디지털 모델로 생성- 생산라인의 배치, 하드웨어, 프로세스, 작업디자인 등 PLM의 전체 과정의 시각화- 시각화를 통한, 데이터 분석 및 시스템 모니터링 가능- 디지... | 제품생애주기,전사적자원관리,가시화,디지털트윈,플랜트 | PLM,MES,visualization,Digital Twin,PID | 129960000 |
178 | 2021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45526 | 목표 수준 맞춤형 머신 러닝 가상화를 위한 시스템 지원 연구 | Study on system support for service-level-objectives tailor-made machine learning virtualization | 김영필 | 세명대학교 | 충청북도 제천시 | 20200301 | 20230228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최종 목표]가상화 제공 수준에 따른 ML 성능 SLO의 모니터링과 평가가 가능한 M2LaaS 시스템(Measurable Machine Learning as a Service)의 연구 개발 [세부 목표]1) 클라우드 IaaS 환경에서 벡엔드에 적용될 서비스 목표 수준 맞춤형 ML 가상화 제공 기법 연구2) 사용자의 SLO에 적합한 가상화 제공 구성을 소비자... | - 머신 러닝(ML) 응용 처리 성능 면에서 불필요한 자원 남용을 막아 사용자 목적에 특화된 ML 응용 성능 제공 가능- 소비자 측면에서, 맞춤형 클라우드 프로비저닝을 통한 사용자 중심 경제적 이득 제공-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의 측면에서, 클라우드 물리 자원 활용율 최적화로 인한 유지 비용 감소 가능- 응용분야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머신러닝을 수행하는 클라... | 서비스 목표 수준 맞춤형 클라우드 IaaS,ML 가상화,ML 서비스 수준 합의 | SLO tailor-made cloud IaaS,ML virtualization,ML SLA | 30000000 |
235 | 2021 | 정보통신방송표준개발지원(R&D,정보화)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1711126061 | ICT 표준 확산 및 진흥 연구 | A Study on ICT Standards Promotion | 장종표 |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 경기도 성남시 | 20170101 | 20211231 | 기타 정보기술 | [ICT 표준에 대한 인식 제고] o 최신 ICT 기술과 표준 정보 및 동향, 국내외 ICT 정책 및 주요 이슈 등을 빠르고 쉽게 접할 수 있도록 ICT Standard Weekly(이메일), 저널(단행본, e-book), 표준해설서 (단행본, e-book) 등을 발간·배포하여 표준에 대한 인식 확산과 접근성을 높임 o 찾아가는 ICT 표준화 지역 맞춤형 ... | o 수요자기반 최신 ICT 표준 기술ㆍ동향 자료 및 간행물을 제작하여 보급확산함으로써 산학연 종사자들의 주요 연구 및 학술 기초 자료로 활용, 일반인의 표준 및 표준에 효용성에 대한 인식 제고 및 이해 증진에 기여o 국민 체감형 또는 국민 편익형 표준 확산을 위해 찾아가는 ICT 표준화 지역 맞춤형 특강(ICT Standard Insight), 세미나... | 교육,용어,자문,정보통신,중소기업 | ICT,consulting,education,standard,terms | 2131000000 |
384 | 2021 | 다부처국가생명연구자원선진화사업(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35335 | 바이오 데이터 엔지니어 인력양성 사업총괄 운영(2021) | Bio data engineer training program | 손지호 | 한국바이오연구조합 | 경기도 성남시 | 20210501 | 20220331 | 정보검색 및 DB기술 | ? 바이오 데이터 엔지니어 인력양성 사업총괄 운영 - 사업 운영 및 목표 달성을 위한 협동연구기관 관리 및 지원 - 채용 목표 달성을 위한 엔지니어 및 공동연구기관 통합 모집(홍보) - 데이터 등록 업무 매뉴얼 업데이트 및 제공 - 바이오 연구 데이터 온라인 등록 시스템 운영 - 데이터 엔지니어 대상의 만족도 및 진로 현황 조사 | ? 수집된 데이터의국가 바이오 데이터 스테이션이관 및 활용 - 협동연구기관 및 공동연구기관에서 데이터 엔지니어들이 등록한 데이터는 현재구축 진행 중인국가 바이오 데이터 스테이션으로 이관되어 전체 연구자가 활용될 예정 ? 연구 빅데이터의 활용범위를 산업계 비즈니스 측면으로 확대 - 산학 프로젝트를 통한 대학과 기업의 인적교류 활성화 및 청년 데이터... | 바이오,데이터,엔지니어,인력양성,표준,연구,디지털,채용 | Bio,Data,Engineer,Training program,Standard,Research,Digital,Recruitment | 475000000 |
557 | 2021 | 소재부품기술개발(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3892 | 소재부품장비 반도체 산업 협력단 | materials component equipment semiconductor industry cooperation team | 안기현 | 한국반도체연구조합 | 경기도 성남시 | 20200801 | 20251231 | 집적회로기술 | o 소재 부품 장비 반도체 산업 협력단 구축을 통한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 과제의 기술교류 및 성과관리 지원과 사업화 촉진 등 성공적 과제수행을 위한 종합적 지원체계 구축 - 소부장산업의 자립화 및 세계 선도를 위한 전략 수립과 기존 개별과제 중심 관리체계에서 산업적 안목의 관리체계로 전환 | [기술적 측면] o 기술개발 과제별 목표 검증 체계를 통해 기술개발 성공 가능성 극대화 - 전문가 협의체를 구성하여 기술개발 애로사항 해결 지원 및 컨설팅을 통해 기술개발 성공 가능성을 높이고 수요기업과의 기술교류를 통회 목표 검증(변경 포함)을 통해 시장 친화적 기술 확보 기대 o 특허 분석 자료를 통해 개발 기술의 특허 회피방안 모색... | 반도체,소재,부품,장비,로드맵 | Semiconductor,material,psrts,equipment,roadmap | 308000000 |
307 | 2022 | 공공조달연계R&D실증·사업화지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70549 | 공공조달 연계활성화를 위한 공공수요기반 혁신제품 개발 및 실증과제 | Public demand-Based Innovative Product(technology) Commercialization Project | 박희택 | 재단법인 한국조달연구원 | 서울특별시 강남구 | 20211102 | 20250430 | 기타 정보기술 | 본 과업은 공공문제 해결을 위한 혁신수요를 발굴, 구체화하고 수요해결을 위한 기술 상용화 및 제품개발 과제기획(안)을 발굴하고, 수요지향적 성과창출을 위한 모니터링 및 공공조달 연계형 전문 컨설팅을 지원하여 실증 R&D와 구매를 연계하는 전주기적 통합지원 체계를 마련하는데 있음 | ① 공공기관의 정책 문제해결 및 공공서비스 개선 - 수요기반 R&D 성과를 통해 공공문제를 직접적으로 해결하는 한편, 공공인프라 개선, 예산절감 등을 통한 대국민 서비스 품질 제고② 혁신기술기업의 판로개척을 통한 Scale-up 지원 - 기업의 R&D결과물의 공공구매를 통해 Test-bed역할을 지원하여, 문제해결의 우수성이 검증된 제품의 공공구매 및 민간... | 혁신조달,공공혁신수요,혁신제품수요발굴,혁신제품실증사업,실증사업모니터링,공공조달컨설팅,공공수요,혁신제품(기술) | Innovation procurement,Public demand for innovation,Public demand articulation,Innovative Producttechnology Commercialization Project,Commercialization Project Monitoring,Public procurement Consulting... | 400000000 |
143 | 2022 | 해상디지털통합활용연계기술개발 | 해양수산부 |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 1525012351 | 무선설비 다각화 이행정책 개발 및 NEW GMDSS 적용방안 연구 | 김영두 |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 세종특별자치시 세종특별자치시 | 20210401 | 20251231 | 기타 네트워크기술 | 초고속해상무선통신망의 다양한 수요처에 대응 가능한 무선설비 활용성 증대와, 육상·선박·해상시설을 유기적으로 연결시켜주는 해상 디지털통신 연계기술 개발, 실증 및 국제화 대응을 최종목표로 함○ 초고속해상무선통신망 활용성 극대화를 위한 통신망 접속용 송수신기 등 무선설비 5종 이상(TRL6이상) 개발 ○ 선내 수분 및 염분 환경, 격벽(철 및 FRP등), 전파... | ○ 무선설비 다각화 개발을 통해 다양한 수요에 대응 가능한 무선설비를 보급사업 등을 통해 민간에 보급토록 기술이전 및 상용화에 직접 활용○ 표면파통신 기술 기반으로 선내 극한환경을 극복한 무선통신 기반의 M-IoT 기술을 확보하여 선박 종류를 망라하는 선박/해상시설 IoT 원천기술 및 생태계 확보○ 초고속해상무선통신망의 NB-IoT 연계 개발을 추진하여 항... | 선내사물통신,선박사물통신,표면파통신,차세대GMDSS,해상인터넷 | MIoT,MS2X,evanescent mode communication,New GMDSS,Marine Internet | 160000000 | |
509 | 2021 | 국토교통연구기획(R&D) | 국토교통부 |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 1615012421 | AI/ICT 기반 발파암 신속분류 기술 개발 기획 | 전병훈 | 한양대학교산학협력단 | 서울특별시 성동구 | 20210913 | 20220712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 골재 품질관리 필요성 증대에 대응하여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발파암 중 양질의 암석을 선별하여 건설산업의 핵심 기초재료인 골재의 품질 개선 및 건축구조물 품질 제고를 위한 연구개발 사업 (가칭 AI/ICT 기반 실시간 판별, 분류 및 품질관리 기술 개발 사업)을 기획하고, 전략계획서, 기술수요조사서 등을 도출 | [기술적 기대성과]AI/ICT 활용 발파암의 신속분류기술의 개발 및 상용화에 성공할 경우 기술적으로는 ① 전주기 건설 원자재 공급망을 대상으로 자동화, 무인화된 발파암, 골재 품질관리 기술시장 창출 ② 불량골재 제조 및 유통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장기 강도 저하 등에 의한 구조물 수명 단축 등 경제적 손실 예방 ③ 건설부산물 활용을 확대하여 천연자원 골... | 발파암,스마트 암분류,건설 골재,현장계측 센서,빅데이터 | Blasted Muck,Smart Rock Classification,Construction Aggregate,In-situ Monitoring Sensors,Big Data Analysis | 100000000 | |
543 | 2021 | 전자부품산업기술개발(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5416 | 생활속 안전시설을 위한 IT융합기술 기반 스마트 안전센서 및 운영 시스템 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smart safety sensor and operation system technology based on IT convergence technology for safety facilities in daily life | 신준호 | 한국전자기술연구원 | 기타 기타 | 20210701 | 20231231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o 가스누출 탐지를 위한 센서 디바이스 프로토타입 설계 및 개발o 무선 센서 데이터 수집 및 연동을 위한 DAQ 시스템 구축o LPG 등 가스 시설 형태/위치별 적용방안(매설관, TP, 저장탱크 등) 도출 및 센싱 위치 결정o 센서 네트워크 Pilot Test 및 성능 평가o LPG 공급시설물의 안전 모니터링 및 원격 제어를 위한 데이터 규격화o LPG 공... | o 가스 안전 관리 현장의 다양한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가스산업 데이터 확보하고 디지털 트윈 적용하여 현장 실증 등의 단계별 효율적 사업추진을 통하여 성공적 서비스 운용 추진하기 위한 전체적인 요구사항 조사 및 핵심 기술 확보o 개념 실증 적용 시나리오 KETI 임시시설內 선적용o DT 기반 스마트 안전센서 및 운영시스템 자체 검증o LPG 실증 Site 타... | 액화 석유 가스,스마트 안전센서,안전융합기술,디지털트윈 운영시스템,실증 테스트베드 | LPG,Smart Safety Sensor,Safety Convergence Technology,Digital Twin Operation System,Demonstration Testbed | 2220000000 |
655 | 2021 | ESS·수소시설화재안전기술연구개발(R&D) | 소방청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761002163 | ESS 화재대응을 위한 자동소화시스템 개발 | The Development of Automatic Extinguishing System for ESS Fire | 홍성호 | 한국화재보험협회부설방재시험연구원 | 기타 기타 | 20200501 | 20241231 | 기타 정보통신 부품기술 | - ESS 화재 정성, 정량적 위험성 평가- ESS 화재 적용 소화장치 시험 및 최적화- ESS 화재 긴급대응 매뉴얼 개발- ESS 열폭주 발생 방지를 위한 소화약제 냉각성능 시험 및 시뮬레이션 수행- ESS 다중물리 모델 개발 (비정상상태:열폭주) | - 특수목적물에 대한 화재안전 기술 향상에 따른 국내 소방기술 발전- 열폭주 방지기술, ESS 화재감지 및 진압기술 개발에 따른 국제적으로 경쟁력있는 기술 확보- 국내 ESS 시장 정상화를 통한 기업들의 손실 감소에 기여- 국외 ESS 수출 증대를 위한 안전기술 확보로 국외 ESS 시장 진출 확대에 기여- 사회적 불안감을 감소시키고 친환경에너지 보급에 대한... | 에너지저장장치,열폭주,자동소화장치,화재감지기,리튬이온 배터리 | ESS,Thermal Runway,Automatic extinguishing system,Fire detector,Liion Battery | 2025520000 |
623 | 2021 | 국가표준기술개발및보급(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2433 | (총괄) 화학바이오분야 상용표준물질개발보급사업 총괄기관 운영 | (General) Operation of the general agency of commercial reference material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project in chemical and bio categories | 이재형 | (재)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 경기도 과천시 | 20200201 | 20211231 | 기타 정보기술 | o (총괄) 화학 바이오분야 상용표준물질개발 보급 사업 총괄기관 운영 - 화학·바이오분야 상용표준물질개발보급사업 협의체 구성 - 화학·바이오분야 상용표준물질개발 로드맵 구축 - 개발 표준물질을 이용한 숙련도 스킴의 개발 - 화학·바이오분야 상용표준물질보급 확산 o 개발 표준물질의 인정 획득 o 개발 표준물질의 국제... | o 글로벌 환경변화에 따른 표준의 역할 및 기능 확대 -국제환경에서 새로운규범(Regulation)으로서의 표준 기능 강화, 국제표준 주도를 통한 시장선점의 형태인新 표준경제체제로의 패러다임 전환 -전 산업분야의 측정기술에서 상당부분을 차지하는표준물질은 국가 산업경쟁력을 측정하는 지표로서 그 역할과 중요성이 점차 확대o 경제 패러다임의 변화, 바... | 표준물질,인증표준물질,소급성,불확도,표준물질생산기관 | Reference material (RM),Certified reference material (CRM),Traceability,Uncertainty,Reference material producer(RMP) | 200000000 |
276 | 2022 | 국민공감·국민참여R&SD선도사업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73027 | O2O 기반 시민 케어 및 다문화 커뮤니티 서비스 성능 검증 및 가이드라인 개발 | Verification and Guideline Development of O2O-based citizen care & multicultural community service | 조태식 |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서초 | 서울특별시 서초구 | 20200824 | 20230523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 최종 목표 - 시민 생활공간과 조화된 안심 플랫폼 시스템 성능검증 및 가이드라인 개발○ 세부 목표 - 개발된 시스템의 제품 성능 검증 - 시스템 성능 품질 가이드라인 개발 | 활용 계획- 본 세부과제는 리빙랩 기반의 지역 활성화 및 지역민의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해 스마트 에코 시스템을 설계 및 구축- 구축 된 시작품에 대한 성능 검증 및 품질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여, 향후 지속적인 리빙랩 서비스를 위한 자생방안을 마련- 스마트 시제품의 성능검증 가이드라인은 현재 정부 부처에서는 새로운 시장 활로를 개척하기 위한 법령 제·개정/ ... | 도시재생,리빙랩,에코시스템,O2O,스마트쉘터,스마트가로등,영상감시장치,표준화 | Urban regeneration,Livinglab,ecosystem,O2O,smartshelter,smartLED,CCTV,Standardization | 100000000 |
211 | 2021 | 스마트시티국제표준화기반조성(R&D) | 국토교통부 |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 1615012316 | 스마트시티 도메인별 기술표준 및 서비스 시험표준개발 | 김수지 | (사단)한국지능형교통체계협회 | 해외 해외 | 20200521 | 20231231 | 기타 정보기술 | ○ 본 연구는 스마트시티의 주요분야인 교통, 에너지, 빌딩 분야 연계시 필요한 인프라-데이터-서비스 등에 대한 표준(안) 마련과 공간정보, 스마트시티 내 ICT 표준화 구축을 목적으로 함- 국가시범도시 및 혁신성장동력프로젝트의 성공과 스마트시티 사업의 활성화를 위해 스마트시티를 구성하는 주요 도메인별 기술표준 및 서비스 시험표준을 개발- 본 연구는 각 도메... | ○ 기술적 측면 -개방형 데이터 스토리지 기반의 스마트시티 통합정보 수집, 가공 및 제공기술 기반 조성 - 국제표준화를 통해 국가간 지역간 정보 연계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범국가적 표준화된 프레임워크를 통해 상호운용성이 보장되는 기술 제공하여 서비스 리스크를 최소화- 국제표준 경쟁력을 강화하고, 산·학·연·관의 체계적인 협력을 통한 기술 및 서비스표준... | 스마트시티,ICT 표준,스마트에너지,공간정보,표준화 | Smart City,ICT standard,Smart Energy,Geographic Information,Standardization | 2021000000 | |
571 | 2022 | 스마트 임상시험 플랫폼 기반 구축사업 | 보건복지부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1465036530 | 임상시험 정보 공동 활용 네트워크 기술 | Network Technology for Joint Utilization of Clinical Trial Information | 백선우 | 국가임상시험지원재단 | 서울특별시 마포구 | 20190722 | 20220430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 “다기관 임상시험 정보 공동 활용 플랫폼” 구축 및 서비스- 범용 임상시험 관리시스템(CTMS)간 정보 공동 활용을 위한 플랫폼 구축- 타 세부과제 등에서 개발된 요소 기술의 탑재 및 활용- 임상시험 정보 공동 활용 고도화로 임상시험 효율화 도모 | ○ 기술적 측면 - 축적된 데이터에서 원하는 조건에 맞는 다양한 통계 정보 제공으로 효율적인 임상시험 수행 기반 마련 - 임상시험 관련 데이터를 연계하는 신규 과제에 데이터 표준에 대한 기술적 토대 마련 - 빅데이터 분석 기법 적용을 위한 임상시험 데이터 축적 기반 마련○ 경제적산업적 측면 - 데이터 통계 및 분석 결과를 활용하여 임상시험 ... | 임상시험,공동 활용,플랫폼,임상시험관리시스템,데이터 통합 | Clinical trial,Joint Utilization,Platform,CTMS,Data Integration | 50000000 |
85 | 2022 | 지역맞춤형재난안전문제해결기술개발지원(R&D) | 행정안전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315001754 | 1인 가구 및 범죄 취약 가구 자가내 범죄 예방 및 대응 시스템 구축 | Establishment of crime prevention and Life Safety response system for singleperson and crimeprone households | 정광용 | 재단법인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 기타 기타 | 20200401 | 20221231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 통합 관제 시스템 구축 ]통합관제실 구축 및 운영 계획 고도화ㆍ 3차 테스트베드 기획ㆍ총괄 및 행정사항 지원ㆍ 본 시스템의 타지역으로의 보급계획 전략 수립 ㆍ 2차 테스트베드 검증 후, 비콘 시스템과 경찰청 관제시스템의 연동 및 검증ㆍ 타 비상벨 관제 시스템의 ICT 기반 범죄예방 및 대응시스템 도입안심귀가 서비스용 비콘 및 게이트웨이 인증마크 획득ㆍ ... | 비콘 기반의 “경기안전지킴이” 서비스는 타 시스템(CCTV 및 보안서비스) 대비 구축비용이 낮고 별도의 공사가 불필요하므로 원룸 등의 1인 가구에서 거주하는 1인 임차거주자가 쉽게 도입 가능 - 스마트폰 신고 및 기존 GPS 기반 비상벨은 정밀 위치(건물내 위치) 및 통신 상태 불량(터널, 지하주차장등) 사용에 한계가 있으나 BLE 비콘은 실내 정밀 위치 ... | 1인 가구,범죄예방,비콘 메쉬네트워크,범죄 대응,사회안전망 | singleperson households,the prevention of crime,Beacon Mesh network,criminal response,social safety Network | 766250000 |
225 | 2021 | 정보보호핵심원천기술개발(R&D,정보화)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1711126381 | (IoT 3세부) 클라우드 기반 IoT 위협 자율 분석 및 대응 기술개발 | Cloud-based IoT Threat Autonomic Analysis and Response Technology | 고웅 | 한국인터넷진흥원 | 전라남도 나주시 | 20180401 | 20211231 | 정보보안 및 암호기술 | □ 연구개발 목표o 실생활에 피해를 유발하는 IoT 환경의 침해사고에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한 실시간 위협탐지 및 자율적 위협 분석 기술 개발 - IoT 기기 상태 및 접속 정보 학습 기반의 이상징후 탐지 기술 - 클라우드 기반 IoT 기기 이상징후 연관성 및 보안 위협 분석 기술 - IoT 기기 보안관리 및 인텔리전스 대응 기술 - 사용자 중... | o IoT 환경에 특화된 알려진/알려지지 않은 위협 탐지 기술을 제공함으로써 스마트홈 및 빌딩 등에서 사용되는 IoT 디바이스를 대상으로 하는 사이버공격 시도 및 침투에 대응함 -또한, IoT 디바이스 고유의 상태 및 상황 정보 기반의 경량화된 위협 탐지 기법을 적용함으로써 IoT 디바이스의 성능 및 자원의 한계를 극복하고 기술의 활용성 및 효율성을 높... | 보안 관제,사물인터넷,이상징후 탐지,인텔리전스,자율 분석 | Anomaly Detection,Autonomic Analysis,Intelligence,IoT,Security Monitoring | 2080600000 |
633 | 2021 | 민군기술협력(R&D)(산업부,방사청) | 다부처 | 국방과학연구소 | 9991007886 | 몰입형 전시 응용을 위한 디지털 홀로그래픽 광학소자 기술 개발 | 강훈종 | 전자부품연구원 | 경기도 성남시 | 20181019 | 20211018 | 차세대디스플레이기술 | ○ 본 과제의 목표는 자유형(Freeform) DDHOE 제작을 위한 홀로그래픽 파면 프린팅 요소기술을 개발하고 DDHOE 시제품(Holographic Screen)의 성능시험과 DDHOE 기반 반구형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시연하는 것임. | 국내 AR/VR 응용에서 홀로그래픽 광학소자를 활용하는 사례가 증가 일로에 있으나, 관련 연구 기반이 취약한 상황에서, 홀로그래픽 프린팅 관련 연구개발은 기술기반 구축에 이바지할 것임 | 홀로그래픽, 파면프린팅, 광학소자 | Holographic, Wavefront Printing, HOE, DWDH | 645000000 | |
546 | 2021 | 소재부품기술개발(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4065 | 초고속 통신용 고다층 PCB 제조를 위한 저유전 절연 소재 및 적층판 기술개발 | Technology Development of low dielectric materials for high speed multi layer PCB | 이민수 | 한국실장산업협회 | 충청북도 청주시 | 20210401 | 20241231 | 기타 정보통신 부품기술 | ㅇ 유리섬유 원사 구매처 확보 및 기초 제직장치 구축, 저유전 필러를 위한 조성물 설계 등 기초 기술 개발ㅇ 고다층 PCB 적용을 위한 CCL용 유전율 4.5이하의 저유전수지, 경화제, 난연제 및 수지 경화물 개발을 위해 각각의 유기 소재 개발 진행ㅇ 고다층 기판용 저유전특성(유전율 ≤ 4.5, 유전손실 ≤ 0.01 @10GHz) 할로겐-free 프리프레그... | ㅇ 유리섬유 원사 구매처 확보 및 기초 제직장치 구축, 저유전 필러를 위한 조성물 설계 등 기초 기술 확보ㅇ 고다층 PCB 적용을 위한 CCL용 유전율 4.5이하의 저유전수지, 경화제, 난연제 및 수지 경화물 개발을 위해 각각의 유기 소재 확보ㅇ 고다층 기판용 저유전특성(유전율 ≤ 4.5, 유전손실 ≤ 0.01 @10GHz) 할로겐-free 프리프레그 및 ... | 저유전 동박적층판,저유전 프리프레그,저유전 유리섬유,저유전 수지,고다층 기판 | low dielectric laminate,low dielectric prepreg,low dielectric glass fbaric,low dielectric resin,highlayer count PCB | 150000000 |
560 | 2021 | 스마트계량측정기술기반조성사업(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5224 | 법정계량기 비대면 실시간 원격검정 시스템 개발 | Development of Nonfacetoface Realtime Remote Verification system for Legal Measuring Instruments | 박광민 | (재)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 | 경기도 성남시 | 20210401 | 20221231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 관련부처(국가기술표준원), 제조업체, 수요기관 등 이해관계자 TF 구성을 통한 시스템 기능 요구사항 개발 □ 법정계량기 비대면 원격검정 시스템 H/W(VTU, VDC) 요구사항 개발 및 구축□ 법정계량기 비대면 원격검정 시스템 VDC 장치 agent 및 검정서버 SW 개발□ 비대면 실시간 원격검정 표준프로세스 제도화를 위한 기술기준, 검정표준절차서 안... | [과학기술적 측면] □ 정부주도형 기술개발을 통한 보급·확산 효과o 한국형 그린뉴딜사업 중점추진 사항 중 에너지관리 효율화를 위해 AMI 관련 기술을 계량산업 인프라에 적용 및 구현o 유·무선 보안인증체계 개발하여 국제법정계량기구(OIML)과의 기술적 공유를 통한 선진국과의 기술력차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 o 정부는 다양한 SOC 분야의 디지털화를 ... | 비대면검정,원격검정,검정데이터보호,보안검정시스템,계량기 정보데이터화 | Non face to face Verification,Remote Verification,Verification Data Protection,Secure Verification System,Datafication of Meter Information | 200000000 |
174 | 2022 | 로봇산업기술개발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9335 | 섬유산업분야 제조공정 개선을 위한 제조로봇 활용 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Industrial Robot Utilization Technology to Improve Manufacturing Process in Textile Industry | 이재용 | (재)한국섬유기계융합연구원 | 경상북도 경산시 | 20200501 | 20231231 | 기타 정보기술 | - 섬유공정 제조로봇 선정 공정 분석 - 공정모델 도출을 위한 현장 설계 및 3D 모델링 - 섬유분야 제조 로봇 활용을 위한 툴/그리퍼 시스템 개발 - 공정 모델별 3D 가상 시뮬레이션 구현 - 매뉴얼 제작 및 로봇활용 모델 도입을 위한 컨설팅 - 섬유산업 현장 적용 로봇활용 테스트베드 설계 및 개발 - 섬유산업 표... | ○ 기술적 측면 - 협소한 섬유공장 내 생산현장에 로봇 도입을 위한 관련 설계 기술 및 연속 공정 내 로봇 활용 연개 가술 확보 - 의복, 가죽 등 섬유산업에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그리퍼 기술 확보 및 검증○ 경제 산업적 측면 - 작업자를 구하기 어려운 세부 공정의 로봇 도입을 통하여 생산성 확보 가능 - 제조로봇 도입에 따른 생산 공정 자동화 ... | 섬유산업,제조로봇,공정모델,로봇 자동화,융합 | Textile manufacturing,Industrial robot,Standard model,Robot automation,Convergence | 1400000000 |
639 | 2021 | 의료기기기술개발(R&D) | 보건복지부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1465033387 | 만성신장질환의 발생과 악화를 제어하기 위한 예측 및 예방 프로그램개발 | Development of prediction and prevention programs to control the development and worsening of chronic kidney disease | 김수완 | 전남대학교병원 | 광주광역시 동구 | 20180831 | 20210430 | 정보검색 및 DB기술 | 만성신장질환의 발생, 진행, 그리고 말기신부전증으로의 진행과 합병증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파악하여 포괄적이고 체계적인 만성신장질환 관리를 위한 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 정책연계 방안 제시1차년도(2018) CKD 코호트 구축 및 검증2차년도(2019) Major Clinical Outcomes 발생 위험인자 분석3차년도(2020) CKD의 주요합병증 ... | ● 한국인 만성신장질환/말기신부전/합병증 DB를 활용하여 자연경과 및 악화인자를 파악하여 관리 대책에 대한 근거자료로 활용● 국가기반 만성질환관리 및 보건의료 정책에 활용● 예방대책과 질환 제어 프로그램 개발, 진료지침 개발을 통한 진료현장에 적용이 가능할 것임● 궁극적으로 우리나라 만성신장질환 발생율, 유병율, 사망률의 감소가 이루어지고 이를 통한 삶의 ... | 만성신장질환,당뇨병,고혈압,보건의료 빅데이터,예방 및 관리 | Chronic kidney disease,Diabetes,Hypertension,Health care big data,Prevention and Control | 88000000 |
521 | 2021 |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R&D)(과기정통부,복지부,산업부) | 다부처 | (재단)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단 | 1711138376 | (참여2)3D 기반 이명 차폐 기능의 기도형 보청기 개발 | 이철현 |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 충청북도 청주시 | 20200901 | 20231231 | 기타 정보기술 | 3D 융합 기술을 적용한 이명 및 보청기 조합의료기기 개발로 상용화를 통한 글로벌 경쟁력 갖는 기도형 보청기의 기술개발 및 개발 후 성공적인 사업을 추진한다.- 주요 성능○ 평균출력음압레벨 : 110dB 이상 ○ 평균음향이득 : 45dB 이상○ 주파수영역 : 250 ~ 4000Hz 이상 ○ 채널 : 12 ○ 이명 기능- 성과 활용 목표 일반 판매가 가능한 ... | ○ 기술적 측면 ㅇ 글로벌한 최첨단 보청기 핵심 기술의 보유 및 연구기반 확보 ㅇ 관련 핵심 기술의 확보 및 옵션 다양화 능력 구비 ㅇ 국내의 IT, 음향 관련 부품소재 후방 산업 기술의 발전 유도○ 경제적ㆍ산업적 측면 ㅇ 기업의 매출 증대 효과(개발 후 50억/년) ㅇ 기업의 인력 고용 효과(개발 후 10명) ㅇ 무역수지 개선 효과 ... | 3D 보청기 / 외이 스케닝 / 외이 모델링 / 개인 맞춤 / 이명 | 3D hearing aid / Outer ear scanning / Ear modeling / Personalized / tinnitus | 98125000 | |
135 | 2022 | 지역중소기업공동수요기술개발(R&D) |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1425163770 | 특장차 스마트 안전 감시 모니터링 및 지능 제어 시스템 상용화 | 정성환 | 한국전자기술연구원 | 전라북도 익산시 | 20201201 | 20221130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 특장차 스마트 안전 감시 모니터링 및 지능 제어 시스템 고도화 - 10채널 이상의 전자 제어 AML의 HW/SW 신뢰성 확보 - 개발 기술의 신뢰성 확보를 위한 특장차 장착 기반의 다양한 시험 데이터 확보 - 하중 분산 데이터 분석에 따른 특장차 지능 제어 소프트웨어 고도화 - LiDAR+Vision 기반의 안전 감시 기술과 연계한 특장차 자동 제어 알... | 기술적측면 - ICT융합 기술의 특장차 도입을 통한 특장차 기술 다변화와 미래 특장차 기술의 시장 선점 - 전장부품업체는 기존의 전장부품을 특장차량용으로 개발함으로써 독립적인 기술영역을 구축할 수 있어 기존의 수직하청관계에 종속되어있던 사업영역을 확대하여 기술을 기반으로 독립적으로 영업을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음 - 미래 특장차 기술의... | 특장차 지능 제어 기술,전자 제어 AML,안전 감시 모니터링,특장차 원격 제어,고장진단 시각화 | Special vehicle intelligent co,Electronic control AML,Safety surveillance monitoring,Remote control of special vehi,Visualization of fault diagnos | 456250000 | |
206 | 2021 | 무인이동체미래선도핵심기술개발(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34715 | 소형, 경량, 소출력 무인비행장치간 직접 정보교환 단말장치 개발 | Development of Lightweight and Low-Power Supported Direct Communication Devices for UAVs | 안일엽 | 한국전자기술연구원 | 경기도 성남시 | 20170401 | 20221231 | 고속인터넷 네트워킹기술 | 본 연구개발 기술은 저고도 공역에서 다수 이기종 무인비행장치의 효율적이고 안전한 비행 환경을 지원하고 무인비행장치의 비행 관련 정보를 교통관리체계 서버인 UTM(Unmanned Aircraft System Traffic Management) 서버와의 정보교환과 다른 무인비행장치와의 직접 정보교환을 지원하기 위한 LTE를 포함하는 통신 기반의 소형, 경량, ... | ● 본 연구개발의 결과물인 소형, 경량, 소출력의 무인이동체 탑재용 통신 단말장치를 통해 저고도 공역에서 상용 LTE망을 통해 다수 이기종의 무인비행장치들의 교통관리용 비행 관련 정보교환을 지원이 가능함● 개발된 정보교환 단말장치를 통해 지상운용시스템인 GCS(Ground Control System)와 무인비행체간의 비가시권 원격 통신 지원이 가능함● 신뢰... | 무인이동체 교통 관리체계, 통신 단말장치, 신뢰성, 가용성, 셀룰러 네트워크, 메시지 교환 프로토콜 | UTM, Communication Modem, Realiability, Availability, Cellular Network, Message Protocol | 367000000 |
441 | 2021 | 성장동력실증기획지원(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재단)과학기술일자리진흥원 | 1711141584 | 휠체어 사용자를 위한 포용관광 | 최재영 | 이유 사회적협동조합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 20211001 | 20230331 | 기타 네트워크기술 | 휠체어 사용자를 위한 포용 관광 내비게이션- 리빙랩 실증을 통해 확보한 통행도로의 정적 데이터(도로 폭, 경사, 장애물 등)와 동적 데이터(시간대별 유동인구, 공사 현황, 날씨 정보, 위급상황 등), Open API 데이터를 교통약자 클라우드 DB 서버에 저장 및 관리하여 휠체어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유연성과 시의성이 있는 정보 제공- 보유한 데이터를 바탕... | 활용계획- 교통약자 맞춤형 애플리케이션 이동의 자유 맵(APP)개발- 휠체어 사용자의 이동권을 저해하는 고질적인 문제점(보도 장애물, 연석 등) 해결- 지역 내 관광·휴양자원 조성사업과 연계한 인프라 시설 확충으로 서비스 확장- 배리어프리 시설 및 서비스 조성사업과 연계하고 전국 대상 서비스 시행- 휠체어 사용자 편의시설, 배리어프리 인증시설 실태조사 ... | 교통안전, 무장애관광 | traffic safety, a barrier free tour | 372359000 | |
327 | 2022 | 자율주행기술개발혁신사업(국토부,부처간협업) | 국토교통부 |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 1615012758 | 자율협력주행을 위한 미래도로 설계 및 실증 기술 개발 | 윤덕근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경기도 고양시 | 20210401 | 20251231 | 기타 정보기술 | 1. (도로 고도화 설계기술 및 기준 개발) 자율주행차량과 도로 시스템의 Connectivity 확보와 자율주행의 안전성 및 효율성 향상을 위한 자율협력주행 도로시스템의 계획, 설계, 설치 및 운영을 위한 세부 기술사양 개발 - 자율협력주행 도로의 기반 시스템 요소기술 및 요구사항 정의 - 안전한 자율협력주행을 위한 도로 고도화 설계기술 및 시스템 세부 기... | - 현재 자율협력주행 차량관련 실증 시장은 자율협력주행 기술의 평가 및 보완 개발보다는 지역 이벤트 식의 실증만 이루어지는 경향이 있어 본 자율협력주행 차량 평가시스템을 통한 도로, 기술 등의 장애요인을 확인하여 기술 보완 효과가 증대될 수 있음- 자율협력주행 안전도 성능평가 시스템을 이용하여 실제 적용되는 도로환경이 갖는 불확실성에 대한 테스트 수행 및 ... | 도로 설계,용량,자율협력주행,기준,실증 | Road Design,Capacity,Connectivity Autonomous Vehicle,Guideline,Field Test | 2171000000 | |
51 | 2022 | 해상디지털통합활용연계기술개발 | 해양수산부 |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 1525012724 | 해상디지털 국제 표준 대응 연구 | 김민규 | (재)한국해사안전국제협력센터 | 세종특별자치시 세종특별자치시 | 20210401 | 20251231 | 기타 네트워크기술 | 초고속해상무선통신망의 다양한 수요처에 대응 가능한 무선설비 활용성 증대와, 육상·선박·해상시설을 유기적으로 연결시켜주는 해상 디지털통신 연계기술 개발, 실증 및 국제화 대응을 최종목표로 함○ 초고속해상무선통신망 활용성 극대화를 위한 통신망 접속용 송수신기 등 무선설비 5종 이상(TRL6이상) 개발 ○ 선내 수분 및 염분 환경, 격벽(철 및 FRP등), 전파... | ○ 무선설비 다각화 개발을 통해 다양한 수요에 대응 가능한 무선설비를 보급사업 등을 통해 민간에 보급토록 기술이전 및 상용화에 직접 활용○ 표면파통신 기술 기반으로 선내 극한환경을 극복한 무선통신 기반의 M-IoT 기술을 확보하여 선박 종류를 망라하는 선박/해상시설 IoT 원천기술 및 생태계 확보○ 초고속해상무선통신망의 NB-IoT 연계 개발을 추진하여 항... | 선내사물통신,선박사물통신,표면파통신,차세대GMDSS,해상인터넷 | MIoT,MS2X,evanescent mode communication,New GMDSS,Marine Internet | 200000000 | |
418 | 2021 | 산업기술R&D연구기획사업(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6561 | 미래자동차 탑승자 중심 융합부품 및 서비스(HMI) 개발사업 기획연구 | A research planning of development project for a passengercentered fusion components and service(HMI) in future mobility | 박선홍 | 한국자동차연구원 | 충청남도 천안시 | 20210601 | 20211130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자율주행 환경에서의 새로운 경험(In-cabin experience)과 편의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는 탑승자 중심 HMI 융합부품 국산화 기술과 인터랙션 서비스 개발 - 미래자동차 탑승자 중심 융합부품 및 서비스(HMI) 기본방향 제시- 중점 추진과제 연구개발제안서(RFP) 제시 | - 자율주행 In-Cabin HMI 융합부품 및 서비스 기술의 국산화 개발을 통한 기업의 미래 시장 대응력 및 글로벌 기술 경쟁력 확보- 단순 이동공간이 아닌 안전하고 재미있는 소비 공간으로, 운전자 중심기술이 아닌 탑승자 중심 기술로 전환되는 미래차 시대를 대비하여 이용자에게 더욱 직관적이고 효율적으로 공간을 활용할 수 있고 자연스러운 경험 가치를 제공하... | 자율주행,휴먼머신인터페이스,탑승자,융합부품,인터랙션 서비스 | Autonomous driving,Human Machine Interface,Passenger,Fusion components,Interaction service | 30000000 |
25 | 2022 | AI기반스마트어업관리시스템개발 | 해양수산부 |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 1525013038 | AI기반 어선안전 설계 데이터플랫폼 개발 및 실증 | 권수연 |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 세종특별자치시 세종특별자치시 | 20220401 | 20261231 | 기타 정보기술 | ㅇ연구 최종 목표-안전한 고효율 어선을 낮은 비용으로 건조 할 수 있도록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어선의 요소별 표준모듈(선형, 추진기, 어로시스템 등)을 개발-인공지능 기술을 통해 모듈을 조합하여 다양한 형태로 설계 및 검증할 수 있는 어선안전 설계 데이터플랫폼 구축 및 보급ㅇ연차별 추진 목표- (1차년) AI기반 어선안전 설계 데이터플랫폼 개발을 위한 현... | ㅇ (기술적 측면) 기술 검증이 제외 되어 있는 국내 소형어선 안전분야의 기술 및 정보화 기반 마련- AI를 활용한 스마트안전기술의 어선 적용으로, 어선의 안전강화를 통한 사고예방과 어선 위험관리 가능 - 각 설계요소 관련 기술 개발 및 모듈화, 모듈별 조합에 대한 안전성 검증을 통한 안전강화형 어선 최적설계기술 선점- 모듈 기반 다목적 최적설계시스템 구축... | 어선,표준모듈,인공지능,설계시스템,플랫폼 | fishing vessel,intelligence,artificial intelligence,design system,platform | 200000000 | |
473 | 2021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교육부 | 한국연구재단 | 1345333404 | 건축설계 생산성 향상을 위한 인공지능기반 법규검토시스템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AI-based Architectural Code Check System for Improving Productivity | 임자은 | 경일대학교 | 경상북도 경산시 | 20210601 | 20240531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 본 연구는 목표는 건축설계 분야의 효율적이며 실무자의 요구사항을 반영한 생산성 향상 방안을 위해 “건축설계 생산성 향상을 위한 新 패러다임 제시”를 비전으로 삼고 있음.● 본 연구는 건축 실무자 측면에서 건축설계 분야의 법규 및 도면요소 인공지능, 건축 적용 API, 파일럿 테스트 및 API 환류 체계로 구성되어 있음.● 이를 통해 건축법규 검토의 고효... | ● 개발성과물은 크게 기반기술과 사용기술로 구분됨.● 기반기술은 건축법규 체크리스트, 기초 데이터, 데이터 베이스 등을 뜻하며 사용기술은 API 즉, 소프트웨어를 말함.● 성과는 크게 3가지 부분에서 활용될 수 있음. 건축실무에서 법규검토, 설계자동화 기술 서비스 제공, 건축설계 인공지능 분야에서 기반 데이터 제공.● 건축법규 검토의 고효율화, 건축도면 최... | 건축법규,자동화,인공지능,건축설계 사무소,건축설계,빅데이터 | Building code, Automation, Artificial intelligence, Architectural design office, Architectural design,Big data | 50000000 |
671 | 2021 | 국가표준기술개발및보급(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4750 | 착용형 유무선 전자 발열제품의 성능 평가법 국제표준 개발 | Development of international standards for performance test method of wearable wirewireless electronic heating products | 전영민 | KOTITI 시험연구원 | 기타 기타 | 20210601 | 20251231 | 기타 정보기술 | o 목표: 유/무선 착용형 전자 발열 제품의 물리적 성능평가법 개발[주관연구개발기관(KOTITI시험연구원)] o 유/무선 착용형 전자 발열 기술 및 제품 조사 o 유/무선 착용형 전자 발열 제품의 성능 평가법 개발 o 전문가 위원회 구성[공동연구개발기관1(㈜장은에프앤씨)] o 착용형 전자 발열 제품 시장 조사 o 착용형 전자 발열 제품 샘플 제작 o 산업계... | [과학 기술적 측면] ○ 착용형 전자 발열 제품에 대한 객관적인 성능 평가 기술 확보를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 분야의 기술 및 제품 개발을 기여할 수 있음. ○ 다양한 산업에서의 발열/냉각 성능 또는 현상에 대한 측정 방법으로의 적용이 가능하여 정교한 기술 개발 및 안전성 확보에 기여할 수 있음. [경제적 산업적 측면] ○ 착용형 전자 발열 제품... | 웨어러블 디바이스,전기 발열,전자섬유,전기 전도성,표준 | Wearable device,electronic heating,etextile,electronic conductivity,Standard | 82667000 |
427 | 2021 | 교통물류연구(R&D) | 국토교통부 |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 1615012296 | 교통플랫폼 기반 신규 교통서비스 솔루션 개발 | 손기민 | 중앙대학교산학협력단 | 서울특별시 동작구 | 20180629 | 20221231 | 기타 정보기술 | - 기존 공학기술에 의존하지 않고 인공지능과 데이터 중심적 방법론에 의거한 교통 계측, 예측, 제어 방법론 개발임.- 정확한 계측 및 예측 솔루션 및 인공지능 기법을 통한 효율적인 교통 솔루션 개발이 궁극적 목표.- AI기반 방법론 및 빅데이터를 활용한 실시간 교통안전 관리전략 개발을 위한 마스터플랜 설계- 스마트폰, 내비게이션, 교통카드 등 다양한 방식으... | - 간접적으로 측정이 가능하였던 교통밀도 및 공간평균속도를 이미지를 통하여 정확하게 측정이 가능함- 단 시간 내에 정확하게 계측이 힘든 보행밀도에 대하여 이미지를 통하여 정확하게 측정 및 계량화가 가능하게 함- 도시부 가로망에서의 신호최적화로 교통혼잡의 파격적인 완화효과를 기대- 도시 별 통행특성에 따른 공유형 교통수단 제안 기술 확보- 보행로 및 자전거 ... | 인공지능,빅데이터,수요대응형,기계학습 | artificial intelligence,big-data,on demand,machine learning | 2156250000 | |
533 | 2021 | 영상진단의료기기탑재용AI기반영상분석솔루션개발(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3135 | AI탑재 영상진단 의료기기 개발을 위한 개방형 온오프라인 플랫폼 기술 개발 | On offline platform for supporting the development of AI embeded medical diagnistic imaging device | 정희경 | (재)대구테크노파크 | 기타 기타 | 20200401 | 20241231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1. 다기관 연구자들의 편익성을 고려한 데이터와 학습영역의 기능들을 추가개발 하여 플랫폼 기능 고도화시키고 사용자 기술수준에 맞춘 UI 및 웹포털 개발2. 플랫폼 연계 AI 기반 영상 분석 솔루션 평가 프로토콜 개발 및 평가 환경 구축 3. 질환별 진단 학습 모델 제공을 위한 의료영상 AI SW 프레임워크 구조 설계 및 핵심 요소기술 구현4. 의료영상 데... | - 다기관 연구자들의 기술수준에 맞추어 활용 가능한 온 오프라인 환경 구축에 대한 기술 개발 및 제공- 보안을 유지하면서 외부 기관이 활용가능하고 엔지니어 기술수준에 따라 개발을 지원하는 플랫폼에 대해서 특허 출원 을 진행시켜 지재권을 확보- 다기관 연구자들을 위한 오픈 SW프레임워크 제공 - 국내 관련 기관, 관련 연구자들에게 국제표준에 관련한 기술정보... | 의료영상데이터,프레임워크,인공지능 개발 플랫폼,딥러닝 AI 라이브러리,의료정보 표준 | medical image data,framework,AI platform,deeplearning AI Library,medical Informatics standards | 1180800000 |
169 | 2022 | 스마트항로표지및연계기술개발 | 해양수산부 |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 1525012641 | 통합 가상항로표지 정보 서비스 | 여지민 | 한국항로표지기술원 | 세종특별자치시 세종특별자치시 | 20210401 | 20251231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ㅇ 과거 아날로그 체계로 전산화되어 분산된 항로표지 정보를 표준화 및 디지털화된 통합형 정보협력체계로 전환ㅇ 스마트 항로표지로 수집된 다양한 정보를 빅데이터화하여 인공지능(AI) 기술을 접목한 새로운 형태의 서비스 개발 및 제공 - 스마트 항로표지 빅데이터를 이용한 분석 알고리즘 - 항로표지 관리를 위한 의사결정 지원 기술 - 스마트 항로표지 기반 신... | ㅇ (유지-관리) 친환경 에너지 기술을 기반으로 현장시설의 고도화를 통해 항로표지 관리 효율화 및 관리체계 일원화 - 항로표지 시설 및 장비 구조의 경량화, 모듈화로 정비시간을 단축하여 점검자 사고율 감소 및 작업 능률향상 ㅇ (대국민 서비스) 스마트 항로표지를 통해 수집 가공된 해양정보를 활용하여 국민들의 해양활동 편의성 향상과 안전성 확보 - 해... | 항로표지 정보표준,항로표지정보 신서비스,정보협력시스템,항로표지 빅데이터,해양자원명 | Aton data standard,Aton based service,Aton info management system,Aton big data,MRN | 70000000 | |
672 | 2021 | 전자부품산업기술개발(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2259 | OLED 공정장비 핵심 부분품 및 재료소재에 대한 성능평가 인증 지원 및 평가법 개발 | Performance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Support and Development of Evaluation Method for Major Parts of OLED Process Equipment and for Materials | 김동식 | 한국디스플레이연구조합 | 서울특별시 강남구 | 20190701 | 20221231 | 차세대디스플레이기술 | 평가 항목 (주요성능 Spec1) 단위 개발 목표치 평가 방법 1. 운영위원회 운영 회 ... | [기술적 측면] □ 국내 디스플레이 패널 대기업은 세계 최고 생산기술을 보유하였으나, 후방산업인 장비, 부품·소재 산업은 원천 기술이 부족하거나 핵심 부품의 해외 의존도가 높아 경쟁력이 저조한 실정 o 특히 국내 장비업계의 경우, 핵심 부분품은 대부분 해외로부터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장비 판매를 통한 부가가치는 해외로... | 유기발광다이오드,공정장비,핵심 부분품,성능평가,인증 지원 | OLED,Equipment ,Materials,Evaluation,Certification | 770000000 |
36 | 2022 | 자동차산업기술개발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81147 | 국제표준 기반 자동발렛주차 및 자동 유무선 충전 융합서비스 개발 | international standardbased automatic valet parking and automatic wired and wireless charging convergence service development | 김철수 | 한국자동차연구원 | 충청남도 천안시 | 20220401 | 20251231 | 기타 정보통신 부품기술 | [1차년도 목표] o 각 세부과제의 개발 내용 조정 및 통합 o 자동발렛주차 및 유·무선자동 충전 융합서비스 개발을 위한 시나리오 개발 o 실증 서비스 시나리오 기반 실증 사이트 주차장 요구사항 도출 o 서비스 실증 주차시설 후보지 분석 및 검토 o 자동발렛주차 및 유무선 자동충전 융합 서비스 실증 협의체 (운영위원회, 개발협의체) 운영 o 자... | [총괄과제] o 1단계 1년차의 연구를 진행하는 동안, 각 세부 과제의 개발 내용 조정 및 통합을 위하여, 기술 개발 및 융합을 협의체를 운영하게 됨 o 기술 협의체는 참여기관 전체, 수요기업, 법제도 분석기관, 특허 분석기관 등의 기탄없는 유의미한 협의를 진행하게 될 것으로 기대됨 o 그 결과 자동발렛주차 및 차량하부 충전방식 유·무선 자동충전의 융합 서... | 자동발렛주차,자동충전,무선충전,융합서비스,국제표준 | automatic valet parking,automatic charging,wireless charging,Convergence service,international standard | 100000000 |
457 | 2021 | 골든타임사수를위한수색구조기술개발(R&D) | 해양경찰청 |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 1535000284 | 클라우드 기반 차세대 VTS 통합 플랫폼 개발 | 정민 | 한국해양수산연수원(본원) | 부산광역시 영도구 | 20210401 | 20231231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1. 전국 VTS 센터의 관제 데이터 실시간 공유를 위한 클라우드 기반 VTS 통합 플랫폼 개발 및 실증2. 본 연구개발과제에서 개발되는 시스템은 기존에 구축되어 운영중인 해상교통관제(VTS) 시스템에 클라우드 신기술을 적용하여 해상교통관제 산업에 기술적 패러다임의 전환을 추구함.본 과제의 성공적인 수행을 위해서는 관제 데이터의 수집, 처리, 분석에서부터 ... | 1. 해상교통관제(VTS)시스템의 활용도 증대관제센터, 상황실, 함정 간 해상교통관제 서비스 플랫폼을 통한 정보연계로 빈틈없는 해상교통안전망을 구축하여 항만 및 연안 해역에서 입체적인 관제업무 수행해양경찰청 선박교통관제기술개발단과 연계하여 특정 항만 또는 해역에 대한 선박항적 및 관제사·운항자간 해상통신 음성 데이터를 인공지능 학습을 위한 빅데이터로 활용2... | 선박교통관제,클라우드,선박안전,빅데이터,레이더 | Vessel Traffic Service ,Cloud,Ship Safety,Big data,RADAR | 50000000 | |
489 | 2021 | 스마트도로조명플랫폼개발및실증연구(R&D)(국토부,과기부,산업부) | 다부처 |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 1615012081 | 스마트 도로조명 통합운영체계 개발 및 실증연구 | 강원의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경기도 고양시 | 20190510 | 20231231 | 기타 정보기술 | ○ 연구단 최종목표 : 도로조명에 센서 및 ICT 기술을 접목하여 도로환경 정보를 수집하고 위험상황을 인지·판단하여 디지털 사인(Digital Sign) 및 I2X 연계를 통해 이용자 위험정보를 제공할수 있는 스마트 도로조명 플랫폼 개발 및 실증사업을 통해 교통사고 저감에 기여○ 3세부(스마트 도로조명 통합운영체계개발 및 실증 연구) 최종목표 : 인식... | ○“한국형 ICT-안전융합 도로조명 플랫폼 개발”로 교통안전분야의 첨단융합 신기술 선도○4차 산업혁명시대의 “초연결 사회” 구현을 위한 새로운 도로조명의 비전 제시○(以前)단순 안전을 위한 시인성 확보의 역할 → (以後)첨단융합기술(ICT+센서+AI+Bigdata)을 통한 교통사고 대응이 가능한 허브 역할로 변화○자율주행차(Lv3, Lv4)의 보급에 앞서 ... | 교통류,지능형교통체계,교통사고예방,교통안전서비스,테스트베드 | trffic flow,ITS,traffic accident prevention,traffic safety service,testbed | 3506870000 | |
575 | 2021 | 어업현장의현안해결지원사업(R&D) | 해양수산부 |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 1525011012 | 잠수기어업의 안전 및 작업효율화 기술개발 | 박주삼 | 사단법인 해양수산과학기술연구조합 | 경기도 성남시 | 20200429 | 20221231 | 기타 정보기술 | 잠수기어업에서 잠수부의 작업환경과 작업공정을 세분화하여 재해요소와 위험요소를 분석하고, 잠수기어업에서 문제라고 판단되는 감압병, 정화되지 못한 공기의 공급, 안전에 취약한 잠수장비, 공기호스의 절단 또는 꼬임에 따른 기체공급 중단, 맨손작업에 의한 작업효율성 저하 등을 해결하기 위한 작업안전 및 효율화 장비를 개발함지속적인 허가지역별 어촌계 선정 애로사항 ... | ○ 기술적 측면 - 잠수부의 이동경로를 3차원으로 추적할 수 있는 위치추적기술 확보- 잠수부에게 깨끗한 공기를 제공할 수 있는 호흡공기공급 기술 확보- 잠수부의 활동을 타선이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등화기술 개발- 잠수부의 고기압하에서 작업을 보조할 수 있는 다양한 기술 확보○ 경제적·산업적 측면- 잠수기어업의 사고에 의한 어업재해 비용 절감 : 최근 10... | 잠수기어업,감압병,표면공급식 공기잠수,수중조업,수중음향측위시스템 | Diving apparatus fishing industry,Decompression sickness,Surface supplied diving,Underwater fishing,Underwater position system | 485000000 | |
59 | 2022 | 해양PNT고도화기술개발사업 | 해양수산부 |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 1525012709 | 정밀 PNT 통합 수신기 기술개발 | 박경원 | 한국전자기술연구원 | 경기도 성남시 | 20200424 | 20241231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 국제해사기구(IMO)에서 요구하는 주항법(GPS)의 센티미터급 성능을 제공할 수 있는 고정밀 PNT 정보 기술개발 및 개발기술의 전해역 실증 ㅇ (1단계: 2020년-2022년) - 항만에서 운영이 가능한 센티미터급 고정밀 측위 보정정보생성/서비스 기술과 수신/활용기술 개발 및 테스트베드 항만에서의 성능 실증 ㅇ (2단계: 2023년-2024년... | □ 활용계획 ㅇ 해양분야 미래수요에 대비해 지상기반 정밀 PNT 인프라를 이용하여 선제적으로 서비스하고, 향후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KPS)을 통해 다분야 활용이 가능한 기반 인프라로 이용 ㅇ 단기적 활용분야: 도선지원, 수로측량, 준설, 항만 및 해양플랜트 건설, 해저케이블 부설, 해양드론 등 ㅇ 장기적 활용분야: 자율운항선박/자동접안, 스마트항만 ... | 해양 PNT,주항법,정밀 측위항법,보강서비스,전해역 성능실증 | Maritime PNT,Primary Navigation,Precise Positioning and Navigation,Augmentation Service,Verifying Performance at the Actual Sea | 350000000 | |
18 | 2022 | 홀로그램핵심기술개발(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1711159702 | 디지털 홀로그램 재생 색-공간 계측 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metrology for the properties of reconstructed digital hologram`s space and color | 이광훈 | 한국광기술원 | 광주광역시 북구 | 20210401 | 20241231 | 차세대디스플레이기술 | o 홀로그램 재생공간의 공간, 색, 질감특성 계측기술 개발 (핵심기술) - 대상의 형상, 색, 질감특성 획득 기술 - 홀로그램 재생상의 형상, 색 및 화질특성 시뮬레이션 기술 - 홀로그램 재생공간 및 공간왜곡도 정량 계측기술 - 홀로그램 재생공간의 색공간 계측 및 색공간 왜곡도 정량 계측기술 - 확장형 등색조건 기반 스펙트럼 도출기술 - 홀로그램 재생상의 ... | ① 기술적 측면 실감 기술인 홀로그램 재생 색-공간 계측 기술 개발을 통해 실감 콘텐츠 제작의 세계적인 기술의 우위 선점 디지털 프로젝션 맵핑, VR/AR 분야에 편중되어 있는 후방 실감 요소기술 시장에 본 서비스를 적용할 경우 전방 실감 콘텐츠 시장으로의 연계 파급 효과가 클 것으로 전망 본 사업을 통해 홀로그램 기술/콘텐츠 분야의 생태계가 조... | 홀로그램 색공간,홀로그램 색좌표,홀로그램 질감특성 | Hologram color coordinate,Hologram color space,Hologram texture characteristics | 967000000 |
286 | 2022 | 국가표준기술개발및보급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8204 | 조명시스템의 BIM 라이브러리 국제표준화 |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of lighting systems BIM library | 조미령 | 한국광기술원 | 광주광역시 북구 | 20200401 | 20231231 | 정보검색 및 DB기술 | ㅇ IEC TC 34 CD 채택 (IEC-6xxxx : Lighting system BIM library, 30.99)ㅇ KS 표준 신청 - ISO 16354:2013 (Guidelines for knowledge libraries and object libraries) -> 국제표준과 부합화하여 표준(안) 개발 | ㅇ IEC TC 34 CD 채택으로 국내 기술의 국제표준 반영 가능 - 조명시스템의 BIM 라이브러리ㅇ 국제표준 부합한 KS 표준으로 신청하여 국가표준 선도 가능 - ISO 16354:2013 (Guidelines for knowledge libraries and object libraries) | 조명시스템,빌딩정보모델링,국제표준화,스마트홈,스마트빌딩 | Lighting Syste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International Standard,Smart Home,Smart Building | 120000000 |
98 | 2022 | 로봇산업기술개발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8598 | 모바일 매니퓰레이터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위험성 감소 및 평가 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risk reduction and assessment technology to secure safety of mobile manipulator | 우종운 | 한국로봇산업진흥원 | 기타 기타 | 20190401 | 20221231 | 기타 정보통신 부품기술 | - 모바일 매니퓰레이터 제품인증 Scheme 및 심사 기준 개발 - 모바일 매니퓰레이터 국내 실제품 대상 시범인증 진행 및 인증체계 확립 - 모바일 매니퓰레이터 통합 시스템 위험감소 기술 개발 - ISO 13849-1 기반 제어시스템 검증을 위한 PL평가 가이드 개발 - 모바일 매니퓰레이터 안전 관련 규제대응 및 관련 기술 보급/확산 - 모바일 매니퓰레이터... | - 모바일 매니퓰레이터 시범인증 및 인증 프로세스 개발을 통한 제품 인증 체계 확립 및 시장 보급/확산 가속화 기대- 모바일 매니퓰레이터 안전성 평가환경(테스트베드) 및 인증 체계 구축을 통한 제품 및 시스템 인증/평가 체계 확립- 다양한 유연 공정 및 상업 서비스 산업 적용으로 생산성 향상과 사전 규제 개선 연구를 통해 모바일 매니퓰레이터 시장 기반을 마... | 모바일 매니퓰레이터,로봇 안전,위험성 평가,기능안전,협동작업 | mobile manipulator,robot safety,risk assessment,functional safety,collaborative operation | 960000000 |
412 | 2021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37046 | 삼차원 응시점 추적 및 적응적 객체 인식 기반의 고성능 스마트 글래스 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high-performance smart glass technology based on three-dimensional gaze tracking and adaptive object recognition | 장훈석 | 한국전자기술연구원 | 경기도 성남시 | 20210601 | 20240229 | 신호처리기술(영상·음성처리·인식·합성) | 1. 고성능 스마트 글래스를 위한 사용자 응시깊이 추정 기반 적응적 객체 인식 기술 개발(1) 사용자의 삼차원 응시점 추정 기술 (3D Gaze Estimation) 개발(2) 추정된 삼차원 응시 신호의 필터링 기술 (Filtering of 3D Gaze Signal) 개발(3) 적응적 삼차원 관심영역 생성 기술 (Adaptive 3D Region of I... | 1. 시각피로는 AR/VR 분야에서 여전히 풀어야 할 기술적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AR/VR 관련 기기의 장시간 사용이 불가능하다는 점이 가장 큰 걸림돌이기 때문에 본 연구개발 과제 기술 개발을 통해서 사용자가 응시하고 있는 초점 거리에 맞게 가상정보를 생성하여 시각 피로 발생 등의 생리적 문제를 원천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차세대 스마트 글래스 핵심... | 증강현실,가상현실,동공검출,삼차원 응시점 추정,응시신호의 필터링,적응적 삼차원 관심영역 생성,물체 검출,심층 | AR,VR,Pupil detection,3D gaze estimation,Filtering of 3D gaze signal,Adaptive 3D RoI generation,Object detection,Deep learning,Smart glass | 39518000 |
180 | 2021 | 자율주행기술개발혁신사업(R&D) | 국토교통부 |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 1615011835 | 주행 및 충돌상황 대응 안전성 평가기술 개발 | 조광상 | 한국교통안전공단 | 경기도 화성시 | 20210401 | 20271231 | 기타 정보기술 | ○ 다양한 시나리오/착좌유형의 Lv.4 자율주행 및 충돌대응 안전성 평가·검증을 위한 주행/출동상황 평가기술 확보와 상용화 대비 법제개선안 마련- 다양한 도로·교통·기상·환경 등을 감안한 Lv.4/4+ 자율주행차 안전성 평가 시나리오 개발- ODD(운행설계영역, Operational Design Domain) 내에서 운전조작행위(Dynamic Driving... | ○ 표준화 된 시나리오 기술 적용으로 각 개발 기관, 제조사의 차량 개발 기간 단축○ (데이터 수집 플랫폼) 다양한 실험을 통해 주행도로 상황에서 예측 불가능한 상황과 위험성 등 문제를 사전에 발견 및 해결방법 제시 가능한 자율주행시스템에 관한 가이드 라인 제시 가능○ (실주행데이터DB) 주행 안전성 평가를 위한 시나리오 구축에 활용하여 많은 연구기관에서... | 레벨 4 자율주행,안전성 평가기술,주행안전,충돌안전,자율주행 자동차법 | Level 4 automated vehicle,Safety assessment technology,Driving safety,Collision safety,Law of automated vehicle | 4395830000 | |
84 | 2022 | ICT기반항만인프라스마트재해대응기술개발 | 해양수산부 |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 1525012409 | 항만 시설물의 재해 위험도 평가지표 개발 | 최정욱 | (사)한국콘크리트학회 | 서울특별시 강남구 | 20210401 | 20251231 | 기타 정보기술 | 본 연구의 최종 목표는 「항만 인프라의 재해 및 노후화 관리를 위한 빅데이터/디지털 트윈 기반 가상화율/시각화정확도 90% 이상의 항만 인프라 관제 시스템 개발 및 정확도 95% 이상의 노후도/재해위험도 평가 기술개발」 개발임. 이를 위하여 1. 디지털 트윈, 빅데이터 기반 항만인프라 관제 시스템 개발, 2. 항만시설물 노후도 및 재해 위험도 평가 기술 개...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스마트 항만 인프라 안전관리를 위한 관제 시스템으로 활용- 노후 항만 인프라 성능개선 방안 제시- 재해 발생 시 항만 시설물의 복구, 상태, 비용 등에 관한 방안 제시- 개선사항에 대해 시뮬레이션을 통한 적합성 판단 및 보완사항 도출- 각 항만의 시설물 파악을 통한 최적의 재해 솔루션 도출(기대효과)1. 기술적 측면- 관련 기술을... | 항만 인프라 관제 시스템,디지털 트윈-빅데이터,재해 및 노후화 시뮬레이션,노후화 예측,재해 위험도 | Control System for Port Infrastructures,Digital Twin and Big Data,Disaster and Deterioration Simulation,Deterioration Prediction,Disaster Risk Level | 100000000 | |
183 | 2022 | 혁신성장동력프로젝트(국토부) | 국토교통부 |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 1615012624 | 데이터 공유를 통한 도시 재해재난 안전 및 사회안전 긴급구난 기술 개발 | 이정민 |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대구광역시 달서구 | 20181029 | 20221231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ㅇ 본 세부과제는 2 핵심과제 도시 수요 기반 스마트시트 Use case 개발 중 2-2 세부과제로 데이터 공유를 통한 도시 재해재난 안전 및 사회안전 긴급구난 기술 개발 과제임. 또한 2-2 세부과제는 자연 재해 (경사지 붕괴와 홍수 등) 와 사회재난(사고 및 화재)을 통한 실증 과제로 Use case 기반기술 개발, 개발기술 실증, 기술검증, 안정화의... | ㅇ 기존 경사지 붕괴 위험인자 수집시스템과 관련하여 계측기기 및 필터링 기술들을 도입하고, 이를 4차산업 기술로 발전시켜 기술적 경쟁력을 확보하고자 함ㅇ 모바일앱 이용자가 재난위험지역 진입/진출에 따른 수신자 맞춤형 메시지 전달로 수신자의 메시지 신뢰성 증대ㅇ 수신율 향상을 위해 수신누락자에 재차 재난메시지 전송을 통해 재난메시지 전달율 개선ㅇ 도시유출모형... | 스마트시티,재해재난안전,긴급구난,데이터공유,유즈케이스 | Smart City,Disaster safety,Emergency resuce,Date sharing,Use case | 1616408000 | |
325 | 2022 | 공공조달연계R&D실증·사업화지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70003 | 실증과제 모니터링 및 실증 데이터 분석 | Demonstration project monitoring and empirical data analysis | 이규혁 | 재단법인 전라남도사회서비스원 | 전라남도 | 20220401 | 20230331 | 기타 정보기술 | - 언택트 음성태그 및 리더기에 대한 정보 접근성을 실증하고, 사용성 검토를 통해 기술에 대한 개선사항을 도출 ? 실제 사용자가 음성태그 및 리더기, 음성태그 인코딩 단말 및 소프트웨어를 일정 기간 사용하고 이에 대한 모니터링 과정을 수행 ? 모니터링을 통해 실증기술의 오류사항 등을 주기적으로 점검하고 피드백을 통해 기술을 개선?보완 ? 실증기술에 대한 정... | - 실증과제 수행을 통한 사용성 검증으로, 시각장애인 등에 대한 보행 및 생활편의를 위한 IT 기술 적용에 대한 정책 제안 ? 보행 약자 등에 대한 지역생활문제 해결을 위한 산?학?연 연계 사례 발굴 및 성과 확산 ? 정책리포트 등을 활용한 관계부처, 지자체, 유관기관 등 정책고객에 대한 공유 및 제언 - 시각장애인 등 보행 약자에 대한 선제적 스마트 환경... | 시각장애인,음성태그,장애인보조기기,무선전자태그,생활편의,사용성 평가,접근성,실증시나리오 | Visually impaired,Voice tag,Assistive devices for the disabled,RFID,Wellness Care,Usability evaluation,Accessibility,Demonstration Scenario | 90000000 |
587 | 2021 | 로봇산업기술개발(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2286 | 모바일 매니퓰레이터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위험성 감소 및 평가 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risk reduction and assessment technology to secure safety of mobile manipulator | 우종운 | 한국로봇산업진흥원 | 기타 기타 | 20190401 | 20221231 | 기타 정보통신 부품기술 | - 모바일 매니퓰레이터 실사용 환경 모사 기반 테스트베드(산업용 및 서비스용) 환경 구축 - 모바일 매니퓰레이터 Risk 평가, Risk 감소기술 연구 및 평가 시스템 초기 모델 구축 - 모바일 매니퓰레이터 위험성 평가/감소 기술 관련 표준 개발 - 모바일 매니퓰레이터 시제품 안전기능의 PLr 부합을 위한 안전설계 가이드 개발 - 모바일 매니퓰레이터 테스트... | - 모바일 매니퓰레이터 위험성 평가 기술 개발 및 테스트플랫폼(파일럿제품) 평가 및 위험성 저감기술력 제고- 모바일 매니퓰레이터 통합 안전 제어 방법론 및 위험성 감소 기술 제고- 모바일 매니퓰레이터 안전성 평가환경(테스트베드) 구축을 통한 제품 및 시스템 평가 체계 확립- 다양한 유연 공정 및 상업 서비스 산업 적용으로 생산성 향상과 사전 규제 개선 연구... | 모바일 매니퓰레이터,로봇 안전,위험성 평가,기능안전,협동작업 | mobile manipulator,robot safety,risk assessment,functional safety,collaborative operation | 960000000 |
401 | 2021 | 공간정보기반실감형콘텐츠융복합및혼합현실제공기술개발(R&D)(산업부) | 산업통상자원부 |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 1615012346 | 고정밀 3D 공간정보기반 육상 이동체용 가상훈련 활용 기술개발 | 류제규 | (주)이노시뮬레이션 | 서울특별시 마포구 | 20180423 | 20221231 | 멀티미디어 단말기 및 운영체계기술 | 본 2 세부과제의 최종목표는 육상 이동체 가상훈련시스템을 위한 표준 공간 데이터베이스 포맷변환 기술, 육상 이동체용 가상훈련시스템을 위한 공간정보 편집 및 가시화 도구, 공간정보기반 육상 이동체 시뮬레이션 기술들을 개발하고, 개발한 기술들을 육상 이동체 가상훈련시스템에 적용하는 형태의 실증 및 수요기업 검증을 수행하여, 고정밀 3D 공간정보기반 육상 이동체... | ● 프랑스 OKTAL의 SCANeR STUIO 및 독일 VIRES의 VTD를 대체하여 국내 기술로 국내 고정밀 공간정보를 가공 편집할 수 있는 대체기술 확보● 공간정보 데이터 포맷 변환 및 수정 기술을 적용한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 확보 | 가상훈련,시뮬레이션,공간정보,저작도구,지능형자동차 | Virtual training,Simulation,Spatial information,Authoring tool,Intelligent car | 732275000 | |
512 | 2021 | 중소기업지원선도연구기관협력기술개발사업(R&D) |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1425151148 | 세라믹 공정을 이용한 5G FR1 및 FR2 초소형 필터 개발 | 최세환 | 한국전자기술연구원 | 경기도 부천시 | 20201101 | 20211031 | 기타 정보통신 부품기술 | * 세라믹 공정을 이용한 5G FR1 및 FR2 초소형 필터 개발- 5G FR1용 딤플구조를 통한 초소형 세라믹 집적화 필터개발 (국내 KT 5G용 3.5GHz 중심주파수, Bandwidth 100MHz, Size Cavity 대비 1/3 수준 )- 5G FR1용 세라믹 집적화 필터 스퓨리어스 제거를 위한 LTCC 저역통과필터 개발 및 일체형 필터 개... | - 기존 캐비티 형태 필터의 문제점인 크기와 무게를 줄일 수 있으며, 저가화가 가능함- LTCC 저역통과필터를 세라믹 집적화 필터에 적용함으로써 세라믹 집적화 필터의 고질적인 문제인 2차와 3차 스퓨리어스 특성을 개선하여 사업성이 향상됨 - 5G FR2용 세라믹 집적화 필터 개발로 안테나와의 접목을 통해 28GHz 대역에서 저손실 다중배열 안테나-필터 유닛... | 필터,세라믹,스퓨리어스,도파관,저온동시소성세라믹 | Filter,Ceramic,Spurious,Waveguide,LTCC | 152450000 | |
596 | 2021 | 스마트임상시험플랫폼기반구축사업(R&D) | 보건복지부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1465033059 | 임상시험 정보 공동 활용 네트워크 기술 | Network Technology for Joint Utilization of Clinical Trial Information | 백선우 | 국가임상시험지원재단 | 서울특별시 마포구 | 20190722 | 20220331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 “다기관 임상시험 정보 공동 활용 플랫폼” 구축 및 서비스- 범용 임상시험 관리시스템(CTMS)간 정보 공동 활용을 위한 플랫폼 구축- 타 세부과제 등에서 개발된 요소 기술의 탑재 및 활용- 임상시험 정보 공동 활용 고도화로 임상시험 효율화 도모 | ○ 기술적 측면 - 축적된 데이터에서 원하는 조건에 맞는 다양한 통계 정보 제공으로 효율적인 임상시험 수행 기반 마련 - 임상시험 관련 데이터를 연계하는 신규 과제에 데이터 표준에 대한 기술적 토대 마련 - 빅데이터 분석 기법 적용을 위한 임상시험 데이터 축적 기반 마련○ 경제적산업적 측면 - 데이터 통계 및 분석 결과를 활용하여 임상시험 ... | 임상시험,공동 활용,플랫폼,임상시험관리시스템,데이터 통합 | Clinical trial,Joint Utilization,Platform,CTMS,Data Integration | 310000000 |
438 | 2021 | 소재부품장비전략협력기술개발(R&D) |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1425156384 | 전도성 고분자를 적용한 5G 및 차세대 통신장비용 고체콘덴서 제조 공정기술 및 자동함침-조립장비 개발 | . | 김선민 | 한국전자기술연구원 | 경기도 성남시 | 20211008 | 20211121 | 기타 정보통신 부품기술 | 차세대 통신장비, 자동차전장부품 등에 적용이 가능한 고내열, 저누설전류, 고성능 고분자전해질콘덴서의 성능지표 정형화 도출 및 사업성 분석- 소재분야 개발을 위한 사전 기술 및 시장 조사- 복합고분자전해질 응용 prototype 성능 도출- 수요기업 협의를 통한 제품 개발 성능 지표 도출- 선도산업군 분석을 통한 원가 경쟁력 분석- 장비 개발을 위한 국내외... | 디지털 융복합 다기능 전기전자제품 성능구현을 위한 필수 수동부품인 고성능 고분자전해질콘덴서 개발 달성 차세대통신장비, 자동차전장산업 등 선도산업 분야에 적용하는 고분자전해질콘덴서 기술 확보 소재, 부품, 장비를 모두 독일, 일본에 의존하는 고분자전해질콘덴서의 국산화 기술적 기대효과-콘덴서급 수분산 전도성고분자 국산화를 통한 독일 중심의 콘덴서급 전도 성고분... | 전도성고분자,수동소자,컨덴서 ,고체컨덴서,통신장비 | conductive polymer,passive component,capacitor,solid capacitor,network device | 15000000 |
282 | 2022 | 국가표준기술개발및보급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81623 | 지능형 반도체 분야 표준기반 강화를 위한 협력 플랫폼 구축 | Establishment of a cooperative platform for strengthening standards in the field of intelligent semiconductors | 한국반도체산업협회 | 경기도 성남시 | 20220701 | 20251231 | 집적회로기술 | ㅇ 지능형반도체(이하 반도체) 핵심 응용분야 표준화 기반 강화 - 바이오MEMS 표준전문가위원회 구성 및 운영 : 2회 - 국내기업 표준 개발 수요조사 : 1회 - 총괄워크숍 개최 : 1회 - 민간표준기구 동향보고서 : 1건ㅇ 국내외 표준협력 플랫폼 구축 - 한미 협력 표준 중점분야 Technical committee 구축: 1건 - 반도체 분야... | ㅇ 반도체기술의 표준화 기반조성은 시장선점을 위한 필수적인 존재로 국제표준의 주도권을 확보함으로써 산업경쟁력 향상과 국가경제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음ㅇ 또한 시장에 적합한 표준을 주도적으로 발굴하고, 개발하는 과정에서 국제 시장으로의 진출·확대 및 표준 활용 노하우를 터득하여 글로벌 경쟁력에 기여하고자 함 | 지능형반도체,국제표준,로드맵,기반조성,사실상표준 | Intelligent semiconductors,International Standard,RoadMap,Infrastructure development,De facto standard | 100000000 |
판매제공처 홈페이지 | hellodd.com | 라이선스 |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
---|---|---|---|
판매 담당자 | 대덕넷 | 권한 | HelloDD |
연락처 | 070-4171-3524 | 접근 권한 | public |
이메일 | sungmin8497@hellodd.com | 상품 구분 | dataset |
품질측정 검사 | 품질측정기간 | ~ | |
---|---|---|---|
품질측정기관 | 대덕넷 | 품질측정연락정보 | 0428615005 |
품질측정결과 | 품질측정내용 |
현재 준비중입니다.
10047 경기도 김포시 양촌읍 황금1로 122,김포제조융합혁신센터 3층 한국산업기술시험원 ㅣ 사업자번호 : 113-82-06228 ㅣ 대표자명 : 김세종 ㅣ TEL: 02-860-1059 ㅣ E-mail: bigdata.dx@ktl.re.kr
Copyright ⓒ 2021 KOREA ENTERPRISE DATA. All Rights Reserved.